총 243건 중 243건 출력
, 6/25 페이지
-
51
-
Ein Deutscher Paul Georg von Möllendorff und Korea im Zeitraum 1882-1885
-
노명환;
한국외국어대학교;
(역사문화연구,
v.0,
2008,
pp.243-276)
-
52
-
1980년대 이후의 세계화 시대 서독의 문화코드와 ‘독일모델’로 정착된 경제문화 특징의 변화: ‘독일모델’의 위기와 전망을 중심으로
-
노명환;
한국외대;
(역사문화연구,
v.0,
2007,
pp.341-386)
-
53
-
역사를 통해 본 독일의 “국가문화 (National Culture)”와 문화코드 : 독일인의 의사소통 방식의 분석을 위한 기본 틀과 관련하여
-
노명환;
조지워싱턴대;
(역사문화연구,
v.0,
2004,
pp.333-378)
-
54
-
분단국의 민주주의와 통일정책의 상호관계 : 구성주의 이론과 하버마스의 공론장 개념을 적용한 빌리 브란트와 김대중의 민주주의 이념과 정책, 분단극복 방안에 대한 비교를 중심으로
-
노명환;
한국외국어대학교;
(역사학연구,
v.0,
2013,
pp.195-240)
-
55
-
냉전 시대 박정희의 한국 산업화 정책과 서독의 의미와 역할 1961-1967
-
노명환;
한국외국어대학교;
(사림,
v.0,
2011,
pp.289-323)
-
56
-
냉전시기 분단국에서 기록관리의 국가·사회적 역할: 독일연방공화국과 대한민국의 아카이브 역사에 대한 비교를 중심으로
-
노명환;
한국외국어대학교;
(역사문화연구,
v.0,
2009,
pp.215-249)
-
57
-
Redressing the Past as a Driving Force for European Integration and the Solution of the German Question: The Implications for Present-Day East Asia
-
노명환;
한국외국어대학교;
(역사문화연구,
v.0,
2011,
pp.263-288)
-
58
-
The EU Inter-cultural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mes for Enhancing of European Awareness towards European Citizenship: Centered on ERASMUS, LINGUA, PETRA, COMENIUS
-
노명환;
한국외국어대학교;
(International Area Studies Review,
v.7,
2004,
pp.187-212)
-
59
-
빌리 브란트의 ‘다양성 속의 통일’ 원리 및 ‘공동의 안보’ 개념과 동방정책에 대한‘성리학적 구성주의’ 시각의 조명
-
노명환;
한국외국어대학교;
(역사학연구,
v.0,
2017,
pp.205-243)
-
60
-
영구평화를 위한 초국가주의 역사로의 전환기 아카이브즈와 아키비스트의 역할: 유럽연합 아카이브즈 설립과정과 유럽차원의 과거사 청산을 위한 독일 아키비스트들의 역할을 중심으로
-
노명환;
한국외국어대학교;
(기록학연구,
v.0,
2010,
pp.227-256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