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309건 중 309건 출력
, 6/31 페이지
-
51
-
새마을운동 기간에 조림·육종·사방 기술 연구개발이 우리나라 산림녹화 성공에 미친 기여도 고찰
-
이돈구;
권기철;
강규석;
영남대학교 박정희새마을대학원;
산림조합중앙회 해외산림개발실;
서울대학교 산림과학부;
(韓國林學會誌 =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,
v.106,
2017,
pp.371-379)
-
52
-
전두환 정권기 대학정화의 추진 배경과 양상
-
문민기;
고려대학교;
(韓國史學報,
v.0,
2023,
pp.157-188)
-
53
-
주민주도형 도시녹화가 도심 낙후지역의 폭염적응력에 미치는 효과 - 대구 서구 비산2·3동 골목정원 사례를 중심으로 -
-
권용석;
대구경북연구원;
(서울도시연구,
v.18,
2017,
pp.27-40)
-
54
-
'제2의 식목, 숲가꾸기사업'이 본격 추진된다
-
한국산림경영인협회;
;
(山林經營,
v.143,
2000,
pp.43-45)
-
55.
- 학교녹지 유형에 따른 야생조류 출현 특성에 관한 연구
- 이풍
-
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, 국내석사,
x, 136 p, 2008
-
56.
- 서울시 공공기관 담장 개방사업에 따른 이용효과 분석
- 이정현
-
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, 국내석사,
vi, 142 p., 2013
-
57.
- 도시환경개선을 위한 옥상 녹화 사례 및 합리적 운용을 위한 개선 방안 연구
- 안은회
-
서울과학기술대학교, 국내석사,
67 p., 2013
-
58.
- 도시 근린생활권 그린인프라 구축을 위한 입체녹화에 대한 전문가 및 시민 인식 분석 : 서울시 근린생활권 전통시장을 중심으로
- 최재현
-
한양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, 2020
-
59
-
1960년대 박정희 정권의 ‘푸른 산’ 조성과 경제·생태 인식: 〈대한뉴스〉의 ‘식목일’, ‘산림녹화’ 행사를 중심으로
-
김수자;
이화여자대학교;
(탈경계인문학Trans-Humanities,
v.13,
2020,
pp.91-112)
-
60.
- 학교옥상녹화 조성현황과 교육적 활용에 관한 연구
- 정홍가
-
부산대학교, 국내석사,
vi, 119 p., 2012