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51
-
안중근·우덕순의 정체성과 김훈의 '하얼빈' -‘포수’ ‘무직’ ‘담배팔이’ 對 ‘의병’ ‘대한국인’-
-
도진순;
창원대학교;
(한국독립운동사연구,
v.0,
2023,
pp.187-234)
-
52
-
이육사의 ‘알뜰히 못 잊을 그님’: 「교목」 「호수」와 밀양의 완재정
-
도진순;
창원대학교;
(민족문학사연구,
v.0,
2023,
pp.125-157)
-
53
-
안중근의 ‘근배’ 유묵과 사카이 요시아키 경시
-
도진순;
창원대학교;
(한국근현대사연구,
v.0,
2023,
pp.43-93)
-
54
-
안중근의 어머니 조마리아의 「편지」와 「전언」, 조작과 실체
-
도진순;
창원대학교;
(역사비평,
v.0,
2023,
pp.207-239)
-
55
-
시를 어떻게 읽을 것인가
-
정기인;
東京外國語大學;
(민족문학사연구,
v.0,
2018,
pp.551-572)
-
56
-
1842년 김대건의 에리곤호 항해와 아편전쟁 : 항해일지와 여정(마닐라, 臺灣, 定海, 吳淞)
-
도진순;
남지우;
창원대학교;
국립대만대학;
(교회사연구,
v.0,
2021,
pp.135-184)
-
57.
- 역사 문화자원의 소통과 스토리텔링 방안 연구 : 자서전『백범일지(白凡逸志)』의 서사를 중심으로
- 윤유석
-
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, 국내박사,
iv, 175 p., 2010
-
58.
- 박정희 시대 제일야당의 파벌연구 : 야당 지도자들의 회고록을 통한 접근
- 이명인
-
창원대학교, 국내박사,
194장, 2019
-
59.
- 경남 마산 지역의 친일의혹 인물과 기념 사업 논쟁 : 이은상·조두남·장지연을 중심으로
- 황혜정
-
창원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41 p.(단면), 2009
-
60
-
이육사 문학의 주석학
-
김주현;
경북대학교 국어국문학과;
(국어국문학,
v.0,
2024,
pp.419-446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