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,600건 중 1,000건 출력
, 6/100 페이지
-
51
-
F.L. 슈만 著, 「쇼비에트의 政治」와 「1917年以後 러시아」
-
姜尙雲;
;
(國際法學會論叢,
v.7,
1962,
pp.364-369)
-
52
-
현대 러시아에서 교회와 정치: 러시아 정교회의 ‘루스끼 미르 개념’을 중심으로
-
신동혁;
국민대학교;
(중소연구,
v.38,
2014,
pp.271-312)
-
53.
- 한국어와 러시아어의 은유 표현 비교 연구 : 한국어와 러시아어의 정치 은유 표현
- Li, Yelena
-
경희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81 p., 2006
-
54
-
러시아 국가 정체성의 역학관계 모델과 정치-문화 상징의 함의: 푸틴 시대의 국가 정체성 재고를 위한 시론
-
김상현;
한양대 아태지역연구센터;
(국제지역연구 = Journal of international area studies,
v.12,
2008,
pp.23)
-
55
-
러시아연방 이슬람지역의 정치엘리트 연구: 북카프카즈 지역을 중심으로
-
정옥경;
한국외국어대학교;
(중소연구,
v.30,
2006,
pp.185-206)
-
56
-
러시아의 권력구조와 민주주의 - 제도적 특성과 정치문화
-
이홍섭;
국방대학교;
(중소연구,
v.29,
2005,
pp.123-145)
-
57
-
러시아 제대로 보기 기 메탕(2022), 『루소포비아: 러시아 혐오의 국제 정치와 서구의 위선』, 가을의 아침, 493쪽
-
류한수;
상명대학교;
(인문논총,
v.79,
2022,
pp.443-454)
-
58
-
War-anniversary Politics and Memories of the Soviet-Japanese War of 1945 in the Russian Far East
-
Song, Joonseo;
;
(슬라브 학보,
v.34,
2019,
pp.205-236)
-
59
-
러시아 정치엘리트 충원시스템 - 주지사와 상원의원을 중심으로 -
-
연담린;
한신대학교 유라시아연구소;
(슬라브硏究,
v.40,
2024,
pp.1-36)
-
60
-
러시아 금융개혁의 정치경제 - 친시장과 시장저항의 “이원운동(double movement)”
-
김태환;
;
(國際政治論叢,
v.43,
2003,
pp.501-525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