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51
-
‘한국문학연구’는 지금, 무엇을 하고 있나 —김흥규의 『근대의 특권화를 넘어서』 (창비, 2013), 그 논쟁적 맥락화를 중심으로—
-
류준필;
인하대학교;
(역사와 현실,
v.0,
2013,
pp.359-382)
-
52
-
『朝鮮詩歌史綱』의 학술사적 의의를 다시 묻다
-
류준필;
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;
(국문학연구,
v.0,
2012,
pp.257-271)
-
53
-
조선후기 문인 사회의 인정 욕망과 타자(성) ― 연암 박지원과 그 주변을 중심으로
-
류준필;
인하대학교;
(국문학연구,
v.17,
2008,
pp.6-52)
-
54
-
陶南 국문학사의 근대문학 서술과 근대인식
-
류준필;
인하대학교;
(고전문학연구,
v.0,
2005,
pp.167-187)
-
55
-
19C말 일본 대학의 학과 편제와 國學ㆍ漢學ㆍ東洋學의 위상
-
류준필;
인하대학교;
(코기토,
v.65,
2009,
pp.199-234)
-
56
-
조선후기 취향 연구의 동향과 의미
-
류준필;
성균관대학교;
(국문학연구,
v.0,
2004,
pp.7-26)
-
57
-
일본의 침략주의와 문명론의 아포리아 : 福澤諭吉의 『文明論之槪略』과 그 동아시아적 계기
-
류준필;
인하대학교;
(한국학연구,
v.0,
2012,
pp.509-530)
-
58
-
19세기 文 관념의 한 국면 ― 金正喜 文論의 역사적 의의 탐색 試論
-
류준필;
인하대학교;
(대동문화연구,
v.41,
2002,
pp.61-86)
-
59
-
⟨김현감호⟩형 서사의 비교문학적 접근
-
류준필;
인하대학교;
(한국학연구,
v.0,
2017,
pp.149-192)
-
60
-
중국 고전⋅문학의 읽기론 —‘융합’과 ‘텍스트’의 갈림길에서
-
류준필;
서울대학교;
(중국문학,
v.100,
2019,
pp.145-182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