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424건 중 424건 출력
, 6/43 페이지
-
51
-
정어리유(油)의 용매분별과 분별유(油)의 이용
-
이영철;
김영붕;
김기성;
한국식품개발연구원;
한국식품개발연구원;
한국식품개발연구원;
(한국유화학회지 = Journal of oil & applied science,
v.6,
1989,
pp.11-19)
-
52.
- 신석기시대 조기 동해안지역 물질문화 교류 : 죽변리유적 출토 토기 중심으로
- 하영중
-
영남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107, 2019
-
53
-
익산 연동리유적 가마 검토
-
김형서;
원광대학교;
(마한백제문화,
v.29,
2017,
pp.75-94)
-
54
-
적색육어류의 고도불포화지질의 이용에 관한 연구 3. 정제정어리유의 제조
-
이강호;
정인학;
서재수;
정우진;
육지희;
부산수산대학 식품공학과;
부산수산대학 식품공학과;
부산수산대학 식품공학과;
부산수산대학 식품공학과;
부산수산대학 식품공학과;
(한국수산학회지 = Journal of the Korean Fisheries Society,
v.21,
1988,
pp.225-231)
-
55
-
부록 1. 고성 문암리유적 출토 토기의 연대측정 결과와 소견
-
쿠니키다 다이;
요시가 쿠니오;
동경대학신영역창성과학연구과;
동경대학종합연구박물관;
(文化財 = Annual review in cultural heritage studies,
v.40,
2007,
pp.431-438)
-
56
-
철제 농공구를 통해 본 다호리유적 -중국에서의 유입과정을 중심으로-
-
김동일;
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원;
(고고광장,
v.30,
2022,
pp.39-74)
-
57
-
영문리유적 주형 석도 분석
-
손준호;
고려대학교;
(한국상고사학보,
v.126,
2024,
pp.35-57)
-
58.
- 인제 부평리유적 출토 제철부산물 분석을 통한 제철공정 연구
- 배채린
-
공주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viii, 78 장, 2018
-
59
-
부여 가탑리유적 토기.기와의 산지연구
-
정광용;
김명진;
오규진;
대전보건대학 박물관과;
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;
충청매장문화재연구원 발굴조사부;
(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002년도 제16회 추계학술대회 및 국제학술강연회,
v.2002,
2002,
pp.7-14)
-
60
-
익산 왕궁리유적 후원(後苑)영역 구성과 변천양상
-
최문정;
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;
(고고광장,
v.0,
2013,
pp.151-182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