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51
-
무형문화재의 영상민속지 기록화 작업의 특징과 문제점-중요무형문화재 ‘하회별신굿탈놀이’의 영상민속지 작업을 중심으로-
-
이상현;
안동대학교;
(비교민속학,
v.0,
2010,
pp.379-419)
-
52.
- ‘분산(分散)’ 다(多)중 ‘복합형 제2구성’ 공간 연구 : 왕수(王澍), 넝파(宁波)역사박물관(2008)과 르 꼬르뷔지에, 빌라스뗑 Villa Stein 공간구성 비교분석을 중심으로
- Li, Jingang
-
서울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ix, 64장, 2019
-
53.
- 농악 이미지 장신구 개발에 관한 연구 : 경기농악을 중심으로
- 최형식
-
서울산업대학교, 국내석사,
vii, 58 p., 2000
-
54
-
생업·생활과 괴리된 무형문화재 민요 종목의 현실상 -인천근해 갯가노래 뱃노래를 중심으로
-
홍태한;
전북대학교;
(무형유산학,
v.8,
2023,
pp.82-102)
-
55.
- 楊州別山臺놀이에 나타난 움직임의 表現性에 關한 硏究 : 옴중춤을 中心으로
- 김용복
-
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x, 56p., 1988
-
56.
- 역번역을 활용한 한국문학의 러시아어 번역 연구 : 정지용과 김원일의 작품을 중심으로
- Grigoriy, Li
-
韓國學中央硏究院, 국내박사,
vi, 149 p., 2010
-
57.
- 아버지 부재 서사의 비교 연구 : 김원일과 오정희의 소설 비교
- 김성희
-
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77장, 2020
-
58.
- 1920-1960년대 濟州市 都市住宅의 類型 및 變遷에 關한 硏究
- 김형남
-
明知大學校, 국내석사,
xi,175p., 1999
-
59.
- 한국인의 정서적 특성에 관한 연구 : 집단명상을 중심으로
- 신천식
-
대전대학교 보건스포츠대학원, 국내석사,
iii, 72p., 2003
-
60
-
상업가로 접점공간의 특성 및 시·지각적 분석에 관한 연구
-
이희정;
이남규;
김용성;
국민대학교;
국민대학교;
국민대학교;
(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,
v.19,
2024,
pp.689-704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