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585건 중 585건 출력
, 6/59 페이지
-
51
-
≪월남망국사≫의 번역, 문체, 출판
-
송명진;
서강대학교;
(현대문학의 연구,
v.0,
2010,
pp.171-203)
-
52
-
‘朝鮮’ 망국에 대한 두 타자의 시각 - 영국 맥켄지 《The Tragedy of Korea》와 〈日本滅高麗慘史〉의 비교 연구
-
이등연;
;
(中國人文科學,
v.42,
2009,
pp.249-284)
-
53
-
내셔널리즘 이전의 인터내셔널 -「월남망국사」의 조선어 번역에 대하여-
-
고병권;
오선민;
;
(한국근대문학연구,
v.0,
2010,
pp.293-323)
-
54
-
大訥 盧相益의 「大韓亡國史列傳」 硏究 -「騎驢隨筆」․「念齋野錄」과의 비교를 통해-
-
이은영;
성균관대학교;
(漢文學報,
v.38,
2018,
pp.55-90)
-
55
-
The Publication, Circulation and Social Influence of Books on Korean’s Subjugation in China, 1910-1945
-
Xu, Dan;
Li, Chunyuan;
;
(중국근현대사연구 = Korean studies of Modern Chinese history,
v.86,
2020,
pp.31-56)
-
56
-
망국과 國家 表象의 의미 변화 - 태극기, 오얏꽃, 무궁화를 중심으로
-
목수현;
;
(韓國文化,
v.53,
2011,
pp.153-174)
-
57
-
《越南亡國史》와 국내 번역본 비교 연구
-
이종미;
전남대학교;
(중국인문과학,
v.0,
2006,
pp.499-522)
-
58
-
망국 군주의 복제(服制) 논쟁에 대한 일 고찰
-
이택동;
가톨릭대학교;
(배달말,
v.0,
2021,
pp.237-264)
-
59
-
Wonder and Fear of the Modern : Imagination of the Fantastic and National Salvation in Late Qing Science Fiction
-
SOH, Yoojin;
;
(中國 現代 文學 = The Journal of Modern Chinese Literature,
v.2018,
2018,
pp.1-29)
-
60
-
亡國과 사물—八大山人 花鳥畵 작품 개설
-
이주현;
서울대학교;
(중국문학,
v.106,
2021,
pp.235-261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