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93건 중 93건 출력
, 6/10 페이지
-
51
-
조선후기 兩班의 일상과 家族內外의 남녀관계
-
문숙자;
한국학중앙연구원;
(古文書硏究,
v.28,
2006,
pp.209-233)
-
52
-
18~19세기 載寧李氏家 호구단자를 통해 본 노비 家系
-
문숙자;
한국학중앙연구원;
(藏書閣,
v.0,
2009,
pp.105-134)
-
53
-
近世 兩班 家門의 文書傳來와 構造
-
문숙자;
한국학중앙연구원;
(古文書硏究,
v.28,
2006,
pp.67-77)
-
54
-
조선후기 兩班家系와 地域民의 관계 및 그 변화양상 - 해남윤씨 고문서를 중심으로 -
-
문숙자;
한국학중앙연구원;
(古文書硏究,
v.48,
2016,
pp.103-131)
-
55
-
16-17세기 兩班家 노비 가족의 존재 형태- 固城李氏 臨淸閣 分財記 분석을 통하여 -
-
문숙자;
한국학중앙연구원;
(古文書硏究,
v.32,
2008,
pp.147-173)
-
56
-
16~18세기 分財文記에 수록된 背頉斜給立案의 내용과 성격
-
문숙자;
서울대학교;
(古文書硏究,
v.52,
2018,
pp.87-114)
-
57
-
조선후기 균분상속의 균열과 그 이후의 상속관행
-
문숙자;
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;
(국학연구,
v.0,
2019,
pp.117-149)
-
58
-
일본으로 반출된 조선시대 고문서의 유형과 내용
-
문숙자;
서울대학교;
(국학연구,
v.0,
2022,
pp.571-606)
-
59
-
舊文記 분석을 통해 본 조선시대 토지매매 양상
-
문숙자;
서울대학교;
(지역과 역사,
v.0,
2022,
pp.363-392)
-
60
-
조선후기 양반가의 빈민구제와 그 사회적 성격: 해남윤씨 연동(蓮洞) 종가의 사례를 통하여
-
문숙자;
서울대학교;
(한국학,
v.43,
2020,
pp.41-74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