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51
-
5세기 고구려와 북위의 고분미술의 畫稿의 전래와 적용
-
박아림;
숙명여자대학교;
(고구려발해연구,
v.64,
2019,
pp.109-138)
-
52
-
고구려 고분벽화와 북방․유라시아미술 연구성과와 과제
-
박아림;
숙명여자대학교;
(인문과학연구,
v.0,
2020,
pp.289-313)
-
53
-
4-5세기 고구려와 중국 고분벽화의 묘주 표현에 보이는 문화적 포용성에 대하여
-
박아림;
숙명여자대학교;
(고구려발해연구,
v.60,
2018,
pp.253-283)
-
54
-
북위 평성시기 고분미술의 변천과 융합
-
박아림;
숙명여자대학교;
(중앙아시아연구,
v.26,
2021,
pp.49-81)
-
55
-
중국 위진 고분벽화의 연원 연구
-
박아림;
숙명여자대학교;
(동양미술사학,
v.1,
2012,
pp.75-112)
-
56
-
섬서 동관세촌묘를 통해 본 수대 벽화묘의 특징
-
박아림;
숙명여자대학교;
(동양미술사학,
v.12,
2021,
pp.129-162)
-
57
-
중국(中國) 녕하회족자치구(寧夏回族自治區)의 고원수당묘(固原隋唐墓)와 염지당묘(鹽池唐墓) 벽화(壁畵)와 석각연구(石刻硏究)
-
박아림;
숙명여자대학교;
(동양미술사학,
v.8,
2019,
pp.93-119)
-
58
-
고임 천장 기법으로 본 유라시아와 고구려문화의 동질성
-
박아림;
숙명여자대학교;
(유라시아문화,
v.12,
2025,
pp.67-95)
-
59
-
126기 고분 안에 담긴 고구려 고분벽화의 어제와 오늘
-
박아림;
숙명여자대학교;
(역사와 현실,
v.0,
2021,
pp.485-495)
-
60
-
중국 섬북과 내몽고지역 동한시기 벽화묘 연구
-
박아림;
숙명여자대학교;
(동양미술사학,
v.10,
2020,
pp.35-73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