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69건 중 169건 출력
, 6/17 페이지
-
51.
- 지자기 측정에 의한 파쇄대 확인
- 배영동
-
영남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32 p., 2010
-
52
-
선산김씨 문중활동의 지역문화적 의의 - 文簡公派를 중심으로
-
배영동;
;
(지방사와 지방문화 = Journal of local history and culture,
v.12,
2009,
pp.175-223)
-
53.
- 부모 묘소 형태와 장자, 중자 및 말자의 자식 수간의 상관성
- 배영동
-
영남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, 2015
-
54
-
농촌지역 다문화가족 폭력피해로 본 국제결혼의 문제와 대안
-
배영동;
안동대학교;
(남도민속연구,
v.0,
2024,
pp.207-241)
-
55
-
음식디미방에나타난 술의 다양성과 그 사회적 의미
-
배영동;
안동대학교;
(문화재,
v.0,
2001,
pp.102-136)
-
56
-
민간전승유산 전시의 전제로서 전승지식 해석
-
배영동;
안동대학교;
(박물관학보,
v.0,
2022,
pp.1-35)
-
57
-
17세기 장계향의 삶과 조리지식의 현대 문화자원화 과정
-
배영동;
안동대학교;
(비교민속학,
v.0,
2017,
pp.291-333)
-
58
-
한국수저의 음식문화적 특성과 의의
-
배영동;
대전보건전문대학 박물관과;
(문화재,
v.0,
1996,
pp.211-232)
-
59
-
안동소주 생산과 소비의 역사와 의미
-
배영동;
;
(지방사와 지방문화 = Journal of local history and culture,
v.9,
2006,
pp.375-413)
-
60
-
향토자원의 활용을 위한 시스템 구축과 정책방향
-
배영동;
안동대학교;
(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2006년도 춘계학술대회,
v.2006,
2006,
pp.29-51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