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51.
- Prognostic implications of microRNA-21 overexpression in invasive ductal carcinoma of the breast
- 이정아
-
고려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iii, 33 p., 2011
-
52.
- 유방암 환자에서 reactive oxygen species modulator 1의 발현양상과 이의 임상적 효용성에 관한 연구
- 김홍규
-
Korea University, 국내박사,
ii, 38 leaves, 2018
-
53.
- 에스트로겐 음성 유방암에서 cytokeratin 5/6과 c-kit의 예후인자로써의 가능성에 대한 연구
- 이승근
-
고려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21 p., 2007
-
54.
- The relationship of hypermethylation of CDH1 and RASSF1α gene between primary breast cancer and metastatic tumor in axillary lymph node
- 정승필
-
고려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23 p., 2012
-
55.
- Study for prognostic factors of triple-negative breast cancer in T1-2 and node negative patients
- 유지영
-
고려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27 p., 2011
-
56.
- Effect of antiadhesion barrier solution and fibrin on capsular formation after Silicone implant insertion in a white rat model.
- 이승근
-
고려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33 p., 2014
-
57.
- HER2 양성 유방암에서 항 HER2 표적 치료요법의 치료반응 예측인자에 관한 연구
- 유지영
-
Korea University, 국내박사,
vi, 35 leaves, 2018
-
58.
- 유방암 환자에서 Ki-67 발현의 임상적 의의
- 김관일
-
고려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29 p., 2015
-
59.
- 강원지역남자중학생의 성(Sexuality)실태 및 성행동 예측모형
- 최청숙
-
고려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123p., 2010
-
60.
- 쥐에서 90% 부분 간절제술 후 특정 약물이 잔존간의 재생 및 생존율에 미치는 효과
- 지웅배
-
고려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51 p., 2013

6