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94건 중 94건 출력
, 6/10 페이지
-
51
-
학교 시민교육에 대한 중·고등학생의 경험과 요구
-
이수정;
배화순;
한국교육과정평가원;
부산교육대학교;
(시민교육연구,
v.56,
2024,
pp.105-127)
-
52
-
국어교육에서 시민교육의 방향성과 가능성-2022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과 시민교육의 연계성 분석-
-
이인화;
배화순;
전북대학교;
부산교육대학교;
(새국어교육,
v.0,
2024,
pp.81-125)
-
53.
- 고고학자료를 활용한 교육콘텐츠화 방안 연구
- 신경숙
-
목포대학교, 국내박사,
xii, 233 p., 2014
-
54
-
Analysis of the Integrated Social Studies Questions from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-Focusing on the comparison with CSAT-
-
배화순,;
김재근,;
Song, Seong-min,;
;
(市民敎育硏究 = Theory and research in citizenship education,
v.50,
2018,
pp.103-128)
-
55
-
화순화력발전소 주변해역의 온배수 환경용량 산정
-
김광수;
최영찬;
이문진;
목포해양대학교 해상운송시스템학부;
제주대학교 해양과학대학 해양과학부;
한국해양연구소 선박해양공학분소;
(한국해양환경공학회지 =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al engineering,
v.3,
2000,
pp.3-12)
-
56
-
사회과 교육과정의 학문적 내용 타당성에 대한 성찰 - 2015 개정 초․중 ‘사회’ 과목의 일반사회 영역을 중심으로 -
-
배화순;
강대현;
황미영;
이경윤;
한국교육과정평가원;
전북대학교;
부산대학교;
서울묵현초등학교;
(시민교육연구,
v.54,
2022,
pp.33-68)
-
57
-
사회과 교과 역량과 기능 체계화 방안 탐색 -2015 개정 교육과정의 일반사회 영역을 중심으로-
-
배화순;
강대현;
은지용;
구정화;
한국교육과정평가원;
전북대학교;
춘천교육대학교;
경인교육대학교;
(시민교육연구,
v.53,
2021,
pp.31-62)
-
58
-
학교 참정권 교육의 내용 요소 설정 및 사회과에서의 참정권 교육 내용 분석 - 2015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-
-
박은아;
배화순;
성경희;
설규주;
한국교육과정평가원;
한국교육과정평가원;
한국교육과정평가원;
경인교육대학교;
(법교육연구,
v.17,
2022,
pp.39-62)
-
59
-
학교 참정권 교육의 내용 요소 설정 및 사회과에서의 참정권 교육 내용 분석 - 2015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-
-
박은아;
배화순;
성경희;
설규주;
한국교육과정평가원;
한국교육과정평가원;
한국교육과정평가원;
경인교육대학교;
(법교육연구,
v.17,
2022,
pp.71-94)
-
60
-
사회과에서의 참정권 교육의 대안적 실행 모색
-
성경희;
박은아;
배화순;
설규주;
한국교육과정평가원;
한국교육과정평가원;
한국교육과정평가원;
경인교육대학교;
(시민교육연구,
v.54,
2022,
pp.37-69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