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51
-
북한의 고구려 유적 연구 현황 및 성과
-
백종오;
충주대학교;
(한국학,
v.31,
2008,
pp.327-358)
-
52
-
‘平壤箕城圖’를 통해 본 平壤城의 構造와 現況
-
백종오;
한국교통대학교;
(백산학보,
v.0,
2016,
pp.129-157)
-
53
-
鴨綠江 中·上流域 出土 高句麗 遺物 檢討
-
백종오;
충주대학교;
(고조선단군학,
v.22,
2010,
pp.165-198)
-
54
-
夏家店下層文化의 最近 調査成果- 赤峰 二道井子遺蹟을 中心으로 -
-
백종오;
충주대학교;
(고조선단군학,
v.32,
2015,
pp.123-161)
-
55
-
中原地域 高句麗 遺蹟 遺物의 檢討
-
백종오;
한국교통대학교;
(고구려발해연구,
v.50,
2014,
pp.221-255)
-
56
-
북한 학계의 고조선 성곽 연구 동향
-
백종오;
경기도 박물관;
(고조선단군학,
v.14,
2006,
pp.333-360)
-
57
-
조선 후기 북한산성의 축성과 운영체계
-
백종오;
한국교통대학교;
(韓國史學報,
v.0,
2013,
pp.113-140)
-
58
-
韓國古代瓦當의 毁棄樣相 檢討
-
백종오;
충주대학교;
(韓國史學報,
v.0,
2011,
pp.7-36)
-
59
-
南韓內 高句麗 古墳의 檢討
-
백종오;
충주대학교;
(고구려발해연구,
v.35,
2009,
pp.221-250)
-
60
-
高句麗 瓦當의 毁棄와 그 象徵的 意味139
-
백종오;
한국교통대학교;
(한국고대사연구,
v.0,
2012,
pp.139-168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