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51
-
2000년대 로맨틱 코미디영화의 섹슈얼리티와 연애관의 이행기
-
서곡숙;
세종대학교;
(씨네포럼,
v.0,
2020,
pp.79-108)
-
52
-
일제강점기 배경 영화 ⟨암살⟩의 정보인지 전략 연구
-
서곡숙;
청주대학교;
(씨네포럼,
v.0,
2022,
pp.207-240)
-
53
-
국가 폭력의 부조리와 애도 공동체의 파괴: 다큐멘터리영화 ⟨공동정범⟩을 중심으로
-
서곡숙;
청주대학교;
(영화연구,
v.0,
2022,
pp.287-322)
-
54
-
가족 해체와 민족 내분의 알레고리: 한국영화 ⟨암살⟩을 중심으로
-
서곡숙;
청주대학교;
(영화연구,
v.0,
2022,
pp.129-161)
-
55
-
복수의 다층성과 사적 복수의 정당성: 영화 ⟨나이팅게일⟩을 중심으로
-
서곡숙;
세종대학교;
(영화연구,
v.0,
2021,
pp.431-458)
-
56
-
탈가정 청소년 유사가족의 재구성과 해체: 2014-2021년 한국 영화를 중심으로
-
서곡숙;
청주대학교;
(영상문화콘텐츠연구,
v.0,
2024,
pp.169-213)
-
57
-
노년 여성 성폭력 영화에 나타나는 폭력의 재현: ⟨69세⟩를 중심으로
-
서곡숙;
청주대학교;
(아시아영화연구,
v.17,
2024,
pp.75-116)
-
58
-
다큐멘터리영화의 극영화 스타일 연구: ⟨거미의 땅⟩을 중심으로
-
서곡숙;
청주대학교;
(영화연구,
v.0,
2025,
pp.293-327)
-
59
-
한국 분단 영화의 카니발적 표현 연구: ⟨육사오(6/45)⟩를 중심으로
-
인슈아이핑;
서곡숙;
청주대학교 대학원 영화언론콘텐츠학과;
청주대학교;
(아시아영화연구,
v.18,
2025,
pp.45-76)
-
60.
- 2000년대 한국 코미디 영화의 아이러니 활용 양상 연구
- NIU BOMIN
-
경희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iii, 92 p., 2022