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752건 중 752건 출력
, 6/76 페이지
-
51.
- 일제시대의 서당교육에서 민족교육의 전개과정 연구
- 박근복
-
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ⅲ, 78 p., 2007
-
52
-
鄭承博文學 속의 植民地 樣相 - 「서당(書堂)」을 중심으로 -
-
추석민;
신라대학교;
(한일군사문화연구,
v.14,
2012,
pp.233-253)
-
53.
- 퇴계문집을 통해서 본 자연관과 건축관 : 도산서당을 중심으로
- 박미정
-
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vii, 84p., 2000
-
54.
- 朝鮮時代 書堂의 敎育 機能 : 敎材를 中心으로
- 변영주
-
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ii, 103p., 2001
-
55.
- 18세기 조선의 서당교육
- 윤경련
-
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52 p., 2005
-
56.
- 교회교육 방법론 모형 탐구 : 서당교육과의 대화를 중심으로
- 이주현
-
감리교신학대학교 신학대학원, 국내석사,
63 p., 2008
-
57.
- ‘紫巖日錄’을 통해 본 19세기 후반 서당의 교육
- 정찬호
-
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, 국내석사,
69, 2017
-
58
-
교육공간으로서 도산서당과 인성교육
-
이인철;
경북대학교;
(교육철학,
v.0,
2015,
pp.305-335)
-
59
-
18세기 가학家學 전승과 문중서당門中書堂
-
이욱;
한국국학진흥원;
(국학연구,
v.0,
2011,
pp.129-155)
-
60
-
A Oral History of Seodang(書堂) Hunjang(訓長)
-
피정만,;
;
(韓國敎育史學= Korean journal of history of education,
v.30,
2008,
pp.119-142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