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51
-
1970, 80년대 한국영화에 나타난 스페인 피카레스크 소설의 장르적 요소
-
정동섭;
전북대학교;
(스페인어문학,
v.0,
2007,
pp.195-212)
-
52.
- 떼레즈 데스께루에 나나탄 비극성 표현 연구
- 박지영
-
건국대학교, 국내석사,
71p., 2004
-
53
-
보르헤스 글쓰기의 미학적 지향점
-
김수진;
한국외국어대학교;
(스페인어문학,
v.0,
2005,
pp.187-201)
-
54
-
스페인문학에 나타난 『칼릴라와 딤나』의 전승과 변이 - 설화 텍스트의 대중화과정을 중심으로-
-
백승욱;
고려대학교;
(중동문제연구,
v.9,
2010,
pp.165-185)
-
55
-
다문화주의와 인디오 소설의 전개과정
-
박종율;
서울대학교;
(스페인어문학,
v.0,
2009,
pp.179-199)
-
56
-
신사실주의 도입과정과 스페인 50세대 소설연구 - Fernández Santos, Aldecoa, Sánchez Ferlosio 중심으로
-
김선웅;
경북대학교;
(세계문학비교연구,
v.0,
2009,
pp.135-163)
-
57
-
포스트콜로니얼리즘과 증언 소설의 시학 - 미겔 바르넷의 『어느 도망친 노예의 일생』을 중심으로-
-
송병선;
한국외국어대학교;
(스페인어문학,
v.0,
2002,
)
-
58
-
여성의 미덕(virtud)과 자유연애를 통해서 본 세르반테스의 인문주의 - 「모범소설」을 중심으로-
-
최정설;
한국외국어대학교;
(스페인어문학,
v.0,
2004,
pp.261-277)
-
59
-
환상적 연애소설 연구: 아돌포 비오이 까사레스의「파울리나를 기리며」와「베네치아의 가면」을 중심으로
-
전용갑;
한국외국어대학교;
(중남미연구,
v.28,
2010,
pp.89-112)
-
60
-
안토니오 에스피나의 소설 미학과 영화 기법
-
김찬기;
;
(세계문학비교연구,
v.0,
2013,
pp.257-275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