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51
-
『朝鮮後期 賑政과 還穀運營』(文勇植, 景仁文化社, 2000), 새로운 시각과 ‘총체적 이해’의 틈
-
송찬섭;
한국방송통신대학교;
(韓國史學報,
v.0,
2001,
pp.377-387)
-
52
-
해방 후 최익한의 사회주의 운동과 ‘변백장(辨白狀)’
-
송찬섭;
한국방송통신대학교;
(역사학연구,
v.0,
2017,
pp.131-170)
-
53
-
1862년 농민항쟁기 영남 관인 이휘준의 활동 — 「영남변무소」와 「삼정소」를 중심으로 —
-
송찬섭;
한국방송통신대학교;
(사림,
v.0,
2019,
pp.225-262)
-
54
-
월북 이후 최익한의 학문과 집필활동
-
송찬섭;
한국방송통신대학교;
(역사학연구,
v.0,
2018,
pp.65-102)
-
55
-
1862년 성주농민항쟁과 읍리층의 동향 : 서택현의 『변무록』을 중심으로
-
송찬섭;
한국방송통신대학교;
(역사연구,
v.0,
2022,
pp.129-177)
-
56
-
1862년 농민항쟁의 발발지역 검토
-
송찬섭;
한국방송통신대학교;
(역사연구,
v.0,
2021,
pp.133-185)
-
57
-
정년 회고: 머무름 혹은 머뭇거림
-
송찬섭;
한국방송통신대학교;
(역사연구,
v.0,
2021,
pp.431-451)
-
58
-
1862년 농민항쟁기 조관 출신들의 활동과 정부의 대책 -김인섭, 이명윤, 장응표, 고제환 등을 중심으로-
-
송찬섭;
한국방송통신대학교;
(南冥學硏究,
v.0,
2021,
pp.57-99)
-
59
-
1927년 조선사회단체 중앙협의회 창립총회와 최익한
-
송찬섭;
한국방송통신대학교;
(역사연구,
v.0,
2024,
pp.509-539)
-
60
-
1862년 농민항쟁 과정의 공론의 형성 : 향회와 민회를 중심으로
-
송찬섭;
한국방송통신대학교;
(역사연구,
v.0,
2023,
pp.169-214)

6