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51.
- 남원 선원사 연구
- 조용섭
-
국립순천대학교대학원, 국내석사,
, 2025
-
52
-
儀軌를 통해 본 『英祖實錄』의 편찬 체계
-
강문식;
서울대학교;
(조선시대사학보,
v.0,
2010,
pp.195-232)
-
53
-
영조대의 제1, 2차 읍지 편찬 사업(1757∼1760)
-
이재두;
영남고등학교;
(藏書閣,
v.0,
2019,
pp.205-236)
-
54
-
朝鮮英祖與中國“三大奇書”
-
손용진;
양만기;
对外经济贸易大学;
제주한라대학교;
(중어중문학,
v.0,
2019,
pp.27-50)
-
55
-
17~18세기 전반 조선 관요 유적의 운영시기 재검토-가마터 출토품을 중심으로-
-
김경중;
재 한국도자재단 경기도자박물관;
(역사와 담론,
v.0,
2022,
pp.191-231)
-
56
-
兵使 韓範錫의 家世와 生平
-
허권수;
경상대학교;
(南冥學硏究,
v.0,
2014,
pp.1-28)
-
57.
- 한양도성의 각자성석에 관한 연구
- 문인식
-
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, 국내박사,
xx, 360p., 2021
-
58
-
李煒의 생애와 『卑牧齋日記』의 사료적 가치
-
金義煥;
李根浩;
;
(韓國史學報 = The journal for the studies of Korean history,
v.19,
2005,
pp.405-435)
-
59
-
조선통폐지인(朝鮮通幣之印) 연구
-
문상련;
중앙승가대학교 문화재학전공;
(文化財 = Annual review in cultural heritage studies,
v.52,
2019,
pp.220-239)
-
60
-
江華学派と党派․党争 - 沈錥周辺の人物を中心に -
-
中純夫;
日本 京都府立大学;
(양명학,
v.0,
2010,
pp.301-318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