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9,334건 중 1,000건 출력
, 6/100 페이지
-
51
-
시조 3수
-
편집부;
;
(중국조선어문 = Korean Language in China,
v.49,
1990,
pp.55-55)
-
52
-
북전과 시조
-
황준연;
;
(세종학연구,
v.1,
1986,
pp.115-147)
-
53
-
辭說時調攷
-
金東俊;
;
(時調學論叢 = The Korean essays on Sijo literary science,
v.3,
1988,
pp.59-101)
-
54
-
육당(六堂)과 만해(萬海) 시조(時調)의 어조(語調)
-
이태희;
인천대;
(時調學論叢 = The Korean essays on Sijo literary science,
v.24,
2006,
pp.259-278)
-
55.
- 초등학교 시조 지도 방안 연구
- 최소진
-
창원대학교, 국내석사,
ii,75p.(단면), 2009
-
56
-
가투(歌鬪)의 시조 수용 양상과 그 의미
-
조유영;
;
(時調學論叢 = The Korean essays on Sijo literary science,
v.31,
2009,
pp.253-278)
-
57
-
시조(始祖) 신화(神話)의 양상(樣相)
-
김광순;
;
(국어국문학,
v.68,
1975,
pp.279-284)
-
58.
- 妓女時調 硏究
- 양진국
-
경산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87 p., 1999
-
59
-
자기 표현으로서의 시조 - 송강시조에서 아니마의 문제를 중심으로
-
김상진;
;
(時調學論叢 = The Korean essays on Sijo literary science,
v.33,
2010,
pp.181-204)
-
60
-
한용운의 시조
-
박항식;
;
(韓國文學硏究= Studies in Korean litererature,
v.3,
1980,
pp.310-316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