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38건 중 138건 출력
, 6/14 페이지
-
51
-
이야기문화의 세대별 양상과 경험적 담화 -경기도 양주 지역의 사례를 중심으로-
-
신동흔;
건국대학교;
(구비문학연구,
v.0,
2003,
pp.41-87)
-
52
-
설화 속 화수분 화소의 생태론적 고찰 - 한국과 유럽 설화를 대상으로 -
-
신동흔;
건국대학교;
(구비문학연구,
v.0,
2014,
pp.1-28)
-
53
-
창작 판소리의 길과 ⟨바리데기 바리공주⟩
-
신동흔;
건국대학교;
(판소리연구,
v.0,
2010,
pp.219-264)
-
54
-
창세신화의 연장으로 본 ⟨세민황제본풀이⟩ 연구
-
신동흔;
건국대학교;
(구비문학연구,
v.0,
2015,
pp.145-176)
-
55
-
판소리문학의 결말부에 담긴 현실인식 재론 - ⟨심청전⟩과 ⟨흥부전⟩을 중심으로
-
신동흔;
건국대학교;
(판소리연구,
v.0,
2005,
pp.313-349)
-
56
-
구술소통능력과 구비문학 : 설화의 인지체계와 의미구조를 중심으로
-
신동흔;
건국대학교;
(화법연구,
v.0,
2016,
pp.59-92)
-
57
-
무속신화를 통해 본 한국적 신 관념의 단면-신과 인간의 동질성을 중심으로-
-
신동흔;
건국대학교;
(비교민속학,
v.0,
2010,
pp.349-377)
-
58
-
구비문학에 나타난 부녀관계의 원형 ―‘집 나가는 딸’ 유형의 설화를 중심으로―
-
신동흔;
건국대학교;
(구비문학연구,
v.0,
2009,
pp.111-132)
-
59
-
어린이의 삶과 구비문학, 과거에서 미래로
-
신동흔;
건국대학교;
(구비문학연구,
v.0,
2007,
pp.1-24)
-
60
-
인지기제로서의 스토리와 인간 연구로서의 설화 연구
-
신동흔;
건국대학교;
(구비문학연구,
v.0,
2016,
pp.59-104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