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19건 중 119건 출력
, 6/12 페이지
-
51
-
『사산비명』 행적부 서사의 문학적 성격과 의미
-
김현화;
충남대학교;
(어문연구,
v.83,
2015,
pp.73-102)
-
52.
- 角亭 趙翰逵의 『三書本義』 譯註
- 송석환
-
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, 국내박사,
504 p., 2024
-
53
-
落日余晖:丁茶山的新人心道心说
-
謝曉東;
中國 厦门大学;
(퇴계학논총,
v.0,
2021,
pp.31-60)
-
54
-
北村透谷의 文學과 人生의 悲劇
-
야노 다카요시;
세종대학교;
(일본언어문화,
v.0,
2011,
pp.539-556)
-
55.
- 금석(金石) 이상화(李相和)의 풍자시 연구
- 한준명
-
건국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ⅳ, 143 p., 2009
-
56
-
이노우에 히사시 『데구사리신주(手鎖心中)』에 소환된 에도 게사쿠의 세계 - 모방과 창조를 통해 작가의 길을 밝히다 -
-
손정아;
경북대학교 일어일문학과;
(일어일문학연구,
v.129,
2024,
pp.281-304)
-
57
-
다무라 도시코(田村俊子)の 『그녀의 생활(彼女の生活)』론
-
이상복;
삼육대학교;
(일본근대학연구,
v.0,
2010,
pp.171-186)
-
58
-
『게이초 중외전』과 『에혼 다이코기』의 비교분석 -두 개의 근세 역사소설에 보이는 임진왜란 전후사의 해석차를 중심으로-
-
김시덕;
고려대학교;
(일본연구,
v.0,
2010,
pp.191-210)
-
59.
- 詠史樂府의 春秋大義的 硏究 : 新羅素材의 反復的 모티브를 中心으로
- 엄원대
-
慶星大學校, 국내박사,
189p., 1999
-
60
-
『사고로모모노가타리(狭衣物語)』의 사랑과 도심(道心) -사고로모다이쇼(狭衣大将)와 온나니노미야(女二宮)의 관계를 중심으로-
-
신재인;
서울디지털대학교;
(日本語文學,
v.1,
2009,
pp.273-290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