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51
-
‘정서교육’으로서의 교과교육: 콜링우드 예술이론의 관점
-
신춘호;
서울교육대학교;
(한국초등교육,
v.34,
2023,
pp.233-248)
-
52.
- 정비석 소설 <자유부인> 의 인물 연구
- 김지연
-
동아대학교, 국내석사,
iii, 60장, 2001
-
53
-
원격개방대학의 학업평가제도 형성에 관한 역사사회학적 고찰 : 한국방송통신대학교와 영국개방대학을 중심으로
-
남신동;
신춘호;
한국방송통신대학교;
한국방송통신대학교;
(평생학습사회,
v.3,
2007,
pp.27-53)
-
54
-
심하전투 서사의 문학지리학적 고찰 -문학지도와 경관, 서사 중심으로-
-
권혁래;
신춘호;
김재웅;
이석현;
용인대학교;
한국방송통신대 연구원;
경북대학교;
서강대학교;
(우리어문연구,
v.0,
2015,
pp.127-173)
-
55
-
1619년 深河戰役의 미결 지리 고증
-
김일환;
이승수;
신춘호;
임문성;
동국대학교;
한양대학교;
한국외국어대학교;
;
(어문연구(語文硏究),
v.47,
2019,
pp.171-201)
-
56.
- 사칠논변에 비추어 본 교과의 의미
- 김윤호
-
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53, 2013
-
57.
- 페늘롱의 교육론 연구 : 놀이의 교육적 의미를 중심으로
- 최영임
-
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, 국내석사,
57, 2017
-
58.
- '일방적 포용자'로서의 교사: 마르틴 부버의 관점
- 동해성
-
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, 국내석사,
, 2016
-
59.
- 공통교육과정에서 평등의 의미
- 홍수민
-
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, 국내석사,
, 2016
-
60.
- 교과를 통한 진로교육: 헤르바르트 관점
- 김지은
-
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, 국내석사,
, 2018