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370건 중 370건 출력
, 6/37 페이지
-
51
-
멀티미디어 게임을 활용한 환경수업이 초등학생의 외래생물에 대한 인식, 학습동기 및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
-
박성경;
배진호;
심규철;
여성희;
소금현;
부산교육대학교;
부산교육대학교;
공주대학교;
이화여자대학교;
부산교육대학교;
(초등과학교육 =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,
v.32,
2013,
pp.346-360)
-
52
-
중학생들의 전지구적 및 지역적 환경 문제 인식에 관한 연구
-
정민이;
소금현;
심규철;
여성희;
이화여자대학교;
부산교육대학교;
공주대학교;
이화여자대학교;
(環境敎育 =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education,
v.20,
2007,
pp.63-75)
-
53
-
10학년 과학 생식 단원에 대한 과학과 수업모형 적용 효과에 관한 비교 연구
-
권오영;
심규철;
김현섭;
;
(과학교육연구 : 공주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,
v.39,
2008,
pp.25-39)
-
54
-
고등학교 융합형 '과학' 과목 운영에 대한 고등학생과 과학 교사의 인식 조사 연구
-
송신철;
홍보라;
김남희;
한화정;
심규철;
신길고등학교;
공주대학교;
공주대학교;
공주대학교;
공주대학교;
(과학교육연구지 :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= Journal of science education,
v.36,
2012,
pp.130-138)
-
55
-
서울 경기지역 고등학교의 학생가 과학 교사의 내분비계 장애 물질(환경 호르몬)에 대한 인식 조사
-
최수연;
소금현;
심규철;
여성희;
이화여자대학교;
이화여자대학교;
공주대학교;
이화여자대학교;
(環境敎育 =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education,
v.19,
2006,
pp.93-101)
-
56
-
관악산의 잔디와 억새 생태계에 있어서 에너지 흐름과 무기물의 순환 10.구리의 순환
-
심규철;
여성희;
장남기;
서울대학교 생물교육과;
서울대학교 생물교육;
서울대학교 생물교육과;
(한국잔디학회지 = Korean journal of turfgrass science,
v.11,
1997,
pp.295-301)
-
57
-
초등학교 자연과 생물 영역의 교육 목표 분석
-
심규철;
이현욱;
장남기;
서울대학교;
서울대학교;
서울대학교;
(한국과학교육학회지 =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,
v.18,
1998,
pp.539-544)
-
58
-
생물 학습을 위한 고등학생 소집단과 교사의 면담에서 나타나는 상호작용 유형 분석
-
김정민;
송신철;
심규철;
환경생태교육연구소;
경기신길고등학교;
공주대학교;
(과학교육연구지 :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= Journal of science education,
v.37,
2013,
pp.117-130)
-
59
-
진공튜브 속에서 분해하는 리튬암모니아 솔루션의 열전효율 향상
-
이정윤;
김미애;
심규철;
김지범;
전준현;
동국대학교 정보통신공학과;
동국대학교 융합에너지 신소재공학과;
동국대학교 융합에너지 신소재공학과;
동국대학교 융합에너지 신소재공학과;
동국대학교 정보통신공학과;
(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= 화학공학,
v.51,
2013,
pp.358-363)
-
60
-
서양등골나물 휘발성 추출물의 알레로파시 효과
-
길지현;
심규철;
이호준;
국립환경연구원 식물생태과;
공주대학교 생물교육과;
건국대학교 생명과학부;
(한국생태학회지 =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,
v.28,
2005,
pp.135-139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