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51
-
일본 자민당 1강(强) 구도의 붕괴와 이시바(石破)내각: 2024 중의원 선거를 통해 본 일본의 정치변동
-
최은미;
아산정책연구원;
(일본연구논총,
v.0,
2024,
pp.77-105)
-
52
-
해양환경보호와 상당한 주의(due diligence)
-
임정희;
아산정책연구원;
(국제법평론,
v.0,
2023,
pp.183-210)
-
53
-
‘천주’ (天主)와 ‘상제’ (上帝): 다산 정약용에서의 천주교와 유교 그리고 정치적 사유
-
김석근;
아산정책연구원;
(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,
v.0,
2022,
pp.181-210)
-
54
-
아세안 2020:코로나19 가운데 맞이한 아세안공동체 5주년
-
이재현;
아산정책연구원;
(동남아시아연구,
v.31,
2021,
pp.1-30)
-
55
-
일본의 코로나19 대응과 정책결정과정
-
최은미;
아산정책연구원;
(일본연구,
v.0,
2021,
pp.147-168)
-
56
-
코로나19 대응을 통해 본 국가의 위기관리 유형 연구: 일본 사례를 중심으로
-
최은미;
아산정책연구원;
(일어일문학연구,
v.115,
2020,
pp.67-86)
-
57
-
한일교류 천만 시대의 착시현상: 접촉이론을 통해 본 한일교류의 현황과 과제
-
최은미;
아산정책연구원;
(일본연구논총,
v.0,
2022,
pp.61-89)
-
58
-
미국의 이슬람 국가에 대한 정책
-
장지향;
재단법인 아산정책연구원;
(의정연구,
v.21,
2015,
pp.287-294)
-
59
-
북한인권 문제의 새로운 접근― 유엔 북한인권 조사위원회 활동 및 보고서의 인권법적 분석을 중심으로 ―
-
백범석;
김유리;
경희대학교;
아산정책연구원;
(서울국제법연구,
v.21,
2014,
pp.43-98)
-
60
-
周易 蹇卦의 원의와 유교 경전화 과정: 地下의 서적과 紙上의 서적을 통해 본 周易 六十四卦 卦爻辭의 형성과 전개 Ⅰ
-
이승률;
재단법인 아산정책연구원;
(동방학지,
v.0,
2013,
pp.81-126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