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92건 중 92건 출력
, 6/10 페이지
-
51
-
高麗-朝鮮時代 分舍利 浮屠의建立 記錄과 樣相 그리고 造成 背景
-
엄기표;
단국대학교;
(불교미술사학,
v.20,
2015,
pp.117-168)
-
52
-
實相寺 片雲和尙 浮屠의 銘文과 樣式에 대한 고찰
-
엄기표;
단국대학교;
(전북사학,
v.0,
2016,
pp.27-60)
-
53
-
韓國 古代의 石造美術에 반영된 木塔 要素에 대한 考察
-
엄기표;
단국대학교;
(역사와 담론,
v.0,
2009,
pp.69-116)
-
54
-
寶珠形 唵(om)字 圖像의 전개와 상징적 의미에 대한 試論
-
엄기표;
단국대학교;
(禪文化硏究,
v.0,
2013,
pp.333-390)
-
55
-
朝鮮時代 磨崖浮屠의 특징과 조성 배경
-
엄기표;
단국대학교;
(동악미술사학,
v.0,
2016,
pp.69-102)
-
56
-
妙香山 普賢寺 8角 13層 石塔에 대한 고찰
-
엄기표;
단국대학교;
(동악미술사학,
v.0,
2015,
pp.621-650)
-
57
-
中國 云居寺의 唐代 石塔에 대한 考察
-
엄기표;
단국대학교;
(동악미술사학,
v.0,
2008,
pp.229-252)
-
58
-
新羅 石造浮屠와 中國 唐代 僧墓塔의 比較 硏究
-
엄기표;
단국대학교;
(동양학,
v.0,
2008,
pp.205-235)
-
59
-
完州 大院寺의 石造美術에 대한 考察과 美術史的 意義
-
엄기표;
단국대학교;
(전북사학,
v.0,
2011,
pp.31-56)
-
60
-
高麗~朝鮮時代 梵字銘 기와의 제작과 미술사적 의의
-
엄기표;
단국대학교;
(역사와 담론,
v.0,
2014,
pp.153-220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