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54건 중 154건 출력
, 6/16 페이지
-
51
-
高句麗의 太王號 제정과 國岡型 왕릉입지의 성립
-
여호규;
한국외국어대학교;
(역사문화연구,
v.0,
2010,
pp.445-488)
-
52
-
중국학계의 고구려 대외관계사 연구현황
-
여호규;
한국외국어대학교;
(한국고대사연구,
v.31,
2003,
pp.35-66)
-
53
-
4세기 동북아 국제정세와 고구려 고국원왕의 생애
-
여호규;
한국외국어대학교;
(역사문화연구,
v.0,
2004,
pp.1-37)
-
54
-
고구려 초기 對中戰爭의 전개과정과 그 성격
-
여호규;
한국외국어대학교;
(동북아역사논총,
v.0,
2007,
pp.7-56)
-
55
-
2세기 전반 高句麗와 後漢의 관계 변화
-
여호규;
한국외국어대학교;
(동양학,
v.0,
2015,
pp.203-229)
-
56
-
高句麗 國內 都城의 구성요소와 수공업 생산체계- 기와 생산체계를 중심으로 -
-
여호규;
한국외국어대학교;
(역사문화연구,
v.0,
2014,
pp.39-80)
-
57
-
고구려 초기의 梁貊과 小水貊
-
여호규;
한국외국어대학교;
(한국고대사연구,
v.25,
2002,
pp.91-130)
-
58
-
鴨綠江 중상류 연안의 高句麗 성곽과 東海路
-
여호규;
한국외국어대학교;
(역사문화연구,
v.0,
2008,
pp.119-170)
-
59
-
고구려 도성의 의례공간과 왕권의 위상
-
여호규;
한국외국어대학교;
(한국고대사연구,
v.0,
2013,
pp.55-96)
-
60
-
⟨廣開土王陵碑⟩에 나타난 高句麗 天下의 공간범위와 주변 族屬에 대한 인식
-
여호규;
한국외국어대학교;
(역사문화연구,
v.0,
2009,
pp.3-48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