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,394건 중 1,000건 출력
, 6/100 페이지
-
51
-
엔리케 두셀의 역사관과 해방사상
-
조영현;
서울대학교;
(스페인어문학,
v.0,
2011,
pp.259-285)
-
52.
- 고등학교 역사수업에서 현장체험학습 사례 : 서대문형무소역사관을 중심으로
- 최은희
-
서울시립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ii 76, 2012
-
53.
- '부산근대역사관'을 활용한 고등학교 근·현대사 수업방안
- 김종숙
-
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67장, 2012
-
54.
- 기독교 입장에서 본 역사관에 관한 비교연구
- 조강신
-
대신대학 신학연구원, 국내석사,
72p., 1993
-
55
-
대구근대역사관, 어떻게 운영할 것인가
-
김일수;
계명대학교;
(대구사학,
v.106,
2012,
pp.35-56)
-
56
-
About Park Si-hyung's view of history and the study of Balhae history
-
Shim, Hee-Chan;
;
(역사와 교육 = The history education review,
v.34,
2022,
pp.321-356)
-
57.
- 대구근대역사관의 발전방안 연구 : -교육 기능을 중심으로-
- 김명진
-
영남대학교 문화예술디자인대학원, 국내석사,
111, 2023
-
58
-
한국 서양사학과 역사관의 문제
-
이상현;
세종대학교;
(韓國史學史學報,
v.0,
2003,
pp.131-159)
-
59.
- ‘12세기 르네상스론’을 통해본 C. H. 해스킨스의 역사관
- 박민아
-
중앙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ii, 100 p., 2014
-
60
-
이승휴의 역사관과 역사서술
-
김남일;
한국국학진흥원;
(韓國史學史學報,
v.0,
2005,
pp.5-51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