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535건 중 535건 출력
, 6/54 페이지
-
51.
- 燕行錄 飜譯 樣相 硏究
- 조양원
-
韓國學中央硏究院 韓國學大學院, 국내박사,
iv, 193 p., 2016
-
52
-
국문본 연행록 『북연긔힝』 연구
-
장경남;
숭실대학교;
(우리문학연구,
v.0,
2010,
pp.99-132)
-
53
-
19세기 연행록에 드러난 홍경래의 난과그 토양 ‘서북’
-
김현미,;
;
(韓國漢文學硏究 = Journal of Korean Literature in Classical Chinese,
v.76,
2019,
pp.235-266)
-
54
-
Diplomatic Trip to Rehe in 1790 and <Seungsarok> the Envoy’s Record by Hwang In-jeom in Korean
-
KIM, IL HWAN;
;
(溫知論叢,
v.60,
2019,
pp.9-44)
-
55
-
진주 강씨 문중의 연행록 전통과 사숙재 강희맹의 중국 체험
-
허경진;
연세대학교;
(南冥學硏究,
v.0,
2016,
pp.25-62)
-
56
-
Memories of War Evoked in the YeonhaengnokWorksduringthelateJoseonDynasty-ExaminingtheMemoriesoftheSong-GeumBattleusingYeonhaengnokDictionaryDB-
-
Jo, Yoong-hee;
;
(영주어문,
v.56,
2024,
pp.423-457)
-
57
-
19세기 연행록에 나타난 아편, 아편전쟁
-
임영길;
단국대학교 한문교육연구소;
(한문학논집(漢文學論集),
v.60,
2021,
pp.77-104)
-
58
-
18세기 연행록(燕行錄)과 서학(西學) - 이기지와 서호수를 중심으로
-
오지석;
숭실대학교;
(리터러시 연구,
v.12,
2021,
pp.295-327)
-
59
-
연행록에 보이는 동물 기사의 유형과 특징
-
신익철;
한국학중앙연구원;
(동방한문학,
v.0,
2015,
pp.93-120)
-
60
-
중국 학계의 연행록 연구
-
홍성구;
경북대학교;
(대동한문학(大東漢文學),
v.0,
2011,
pp.93-121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