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51
-
자기 위안을 위한 이야기로 본 ⟨만언사⟩의 특징과 의미
-
염은열;
청주교육대학교;
(문학치료연구,
v.19,
2011,
pp.9-40)
-
52
-
문학 교사 ‘되기’에 대한 치료적 접근의 필요성과 그 방향 탐색
-
염은열;
청주교육대학교;
(문학치료연구,
v.14,
2010,
pp.273-303)
-
53
-
금강산 가사의 지리적 상상력과 장소 표현이 지닌 의미
-
염은열;
청주교육대학교;
(고전문학연구,
v.0,
2010,
pp.3-36)
-
54
-
『국어국문학』을 중심으로 본 국어교육 연구의 흐름과 과제
-
염은열;
청주교육대학교;
(국어국문학,
v.0,
2012,
pp.215-245)
-
55
-
쓰기 교과서의 ‘활동’ 구성에 대한 연구
-
염은열;
청주교육대학교;
(청람어문교육,
v.0,
2006,
pp.27-50)
-
56
-
문학치료의 방법으로써의 독후감 쓰기에 대한 연구
-
염은열;
청주교육대학교;
(독서연구,
v.0,
2005,
pp.315-334)
-
57
-
읽기 기초학력 평가를 위한 선결 과제
-
염은열;
청주교육대학교;
(국어교육학연구,
v.0,
2005,
pp.213-242)
-
58
-
시조 번역, 그 해석과 창안의 여정에 대한 탐구–R. Rutt의 시조 영역을 예로
-
염은열;
청주교육대학교;
(한국시가연구,
v.58,
2023,
pp.395-429)
-
59
-
디지털 시대 고전시가의 발견 및 재구성이 던진 교육적 질문과 과제
-
염은열;
청주교육대학교;
(문학교육학,
v.0,
2018,
pp.207-236)
-
60
-
다양성의 시대 (한)국어교육: 학생
-
염은열;
청주교육대학교;
(새국어교육,
v.0,
2024,
pp.7-40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