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51
-
중국에서의 재만 조선인 항일투쟁사 서술 - 국공내전·한국전쟁기에 진행된 선전 및 서술을 중심으로 -
-
염인호;
서울시립대학교;
(한국학논총,
v.45,
2016,
pp.57-90)
-
52
-
연변조선족자치주의 건립과 자치주 관할 영역 문제
-
염인호;
서울시립대학교;
(한국학논총,
v.34,
2010,
pp.1285-1309)
-
53
-
해방 전후 민족혁명당의 민족통일전선운동
-
염인호;
서울시립대학교;
(역사연구,
v.0,
1992,
pp.333-382)
-
54
-
조선족 해원 일기를 통해서 본 북한의 항일빨치산 투쟁사 활용과 문혁기의 ‘석동수 특무 조직사건’
-
염인호;
서울시립대학교;
(한국학논총,
v.47,
2017,
pp.363-402)
-
55
-
(서평) 가려진 독립운동가의 제 위치 찾아주기-최기영, 『중국 관내 한국독립운동가의 삶과 투쟁』 , 일조각, 2015-
-
염인호;
서울시립대학교;
(한국독립운동사연구,
v.0,
2016,
pp.298-307)
-
56
-
중국 연변 문화대혁명과 주덕해의 실각 - 북한 특무 혐의를 중심으로 -
-
염인호;
서울시립대학교;
(한국독립운동사연구,
v.0,
2005,
pp.395-437)
-
57
-
연변조선족자치주 건립에 관한 일 연구 -만주 각지 및 북한 출신 조선인‘建州父’들의 활동과 역할을 중심으로-
-
염인호;
서울시립대학교;
(한국학논총,
v.53,
2020,
pp.199-238)
-
58
-
중국 조선족 변사 海元의 삶과 일기 - 毛澤東 시대를 중심으로 -
-
염인호;
서울시립대학교;
(민족문화연구,
v.0,
2015,
pp.215-252)
-
59
-
조선족 변사 海元의 활동 분석을 통해서 본 1960년대 상반기 연변조선족 사회와 한반도와의 관계
-
염인호;
서울시립대학교;
(한국근현대사연구,
v.0,
2013,
pp.943-979)
-
60
-
중국 국·공 내전기 목단강시 조선인 사회와 한반도와의 관계(1945.8∼1948.2) - 특히 북한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-
-
염인호;
서울시립대학교;
(한국학논총,
v.32,
2009,
pp.421-461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