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323건 중 323건 출력
, 6/33 페이지
-
51.
- 甕器材質을 應用한 花器開發에 關한 硏究
- 오향종
-
壇國大學校 大學院, 국내석사,
i, 40p., 1992
-
52
-
가마구조로 본 19세기 후반~20세기 옹기가마의 전통과 변화
-
김태홍;
한국선사문화연구원;
(한국고고학보,
v.0,
2018,
pp.252-279)
-
53.
- 甕器用 化粧土와 透明釉 開發
- 鄭永樂
-
명지대학교, 국내석사,
iv, 50 p., 2000
-
54
-
옹기 화병이 절화 거베라의 수명 및 미생물 증식에 미치는 영향
-
임영희;
오욱;
영남대학교 원예생명과학과;
영남대학교 원예생명과학과;
(원예과학기술지 = Korean journal of horticultural science & technology,
v.29,
2011,
pp.110-115)
-
55
-
옹기장인의 옹기제작기술과 전통지식
-
김재호;
안동대학교;
(헤리티지:역사와 과학,
v.48,
2015,
pp.142-157)
-
56
-
전통미술에 보이는 옹기에 대한 연구 - 옹기에 쓰인 전통무늬를 중심으로
-
정명호;
;
(實學思想硏究,
v.10,
1999,
pp.795-821)
-
57
-
울주지역 옹기가마 분포와 수습유물
-
;
;
(문물연구,
v.19,
2011,
pp.107-144)
-
58
-
한국전통옹기의 통기성에 관한연구
-
김석호;
홍익대학교/홍익아트디렉션;
(조형예술학연구 = Journal of science of art & design,
v.9,
2006,
pp.5-24)
-
59
-
The Study on Current State of Tradition Succession of the Master Jeong Yunseok`s Pottery Workshop, Who is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Property
-
Cho , Sung Nam;
;
(한국과학예술포럼 = Korea science & art forum,
v.32,
2018,
pp.279-292)
-
60
-
문헌기록을 통해 본 瓦器·陶器·甕器의 用例와 상호관계
-
한혜선;
이화여자대학교;
(역사와 담론,
v.0,
2012,
pp.199-236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