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600건 중 600건 출력
, 6/60 페이지
-
51
-
서계 유학사상의 실학적 인식의 기초
-
이종성;
충남대학교;
(철학논총,
v.61,
2010,
pp.95-114)
-
52
-
한국 유학사에 나타난 공리주의 사상과 그 영향
-
김낙진;
진주교육대학교;
(유교사상문화연구,
v.0,
2005,
pp.85-108)
-
53
-
대승불교에서 주자학으로 - 불교 비판과 유학사의 재구성을 중심으로
-
김석근;
;
(정치사상연구 = The Korean review of political thought,
v.1,
1999,
pp.109-144)
-
54
-
조선유학사와 식민주의
-
정세근;
충북대학교;
(대동철학,
v.0,
2011,
pp.173-191)
-
55
-
呂留良의 宗朱闢王의 유학사
-
윤상수;
;
(태동고전연구,
v.32,
2014,
pp.99-135)
-
56
-
「排耶蘇」에 나타난 하야시 라잔(林羅山)의 유학사상에 대한 일고찰
-
김선희;
;
(日本文化硏究 = Japanese cultural studies,
v.33,
2010,
pp.43-59)
-
57
-
호남 유학사상의 특질
-
오종일;
전주대학교;
(동양철학연구,
v.0,
2004,
pp.7-37)
-
58
-
조선후기 관서 유학사 시론
-
노관범;
서울대학교;
(한국사상사학,
v.0,
2020,
pp.205-241)
-
59
-
명재 윤증의 유학사적 위상
-
이동희;
계명대학교;
(유학연구,
v.20,
2009,
pp.1-25)
-
60.
- 한대 초기 사상 연구 : 황노사상에서 유학사상으로의 정치 이념 변화를 중심으로
- 김종석
-
성균관대학교, 국내석사,
84 p., 2002