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96건 중 96건 출력
, 6/10 페이지
-
51
-
⟨李生窺墻傳⟩의 만남과 이별, 그 重層性의 의미
-
이강엽;
대구교육대;
(한민족문화연구,
v.49,
2015,
pp.153-187)
-
52
-
신화의 문학교육적 의미
-
이강엽;
대구교육대학교;
(한국초등국어교육,
v.0,
2005,
pp.117-146)
-
53
-
『三國遺事』에 나타난 聖顯으로서의 돌[石]
-
이강엽;
대구교육대학교;
(열상고전연구,
v.0,
2008,
pp.451-486)
-
54
-
⟨三國遺事⟩ 「洛山二大聖觀音正趣調信」條의 삽화 구성과 그 의미
-
이강엽;
대구교육대학교;
(열상고전연구,
v.0,
2012,
pp.215-248)
-
55
-
⟨혜통항룡(惠通降龍)⟩의 치병(治病)과 구제(救濟)
-
이강엽;
대구교육대학교;
(문학치료연구,
v.37,
2015,
pp.39-71)
-
56
-
惡의 超脫, 寬容의 敍事
-
이강엽;
대구교육대학교;
(열상고전연구,
v.0,
2009,
pp.219-257)
-
57
-
禮樂으로 본 바보사위담
-
이강엽;
대구교육대학교;
(한국민속학,
v.44,
2006,
pp.275-304)
-
58
-
『三國遺事』 「孝善」篇의 어머니像을 통해서 본 孝의 의미
-
이강엽;
대구교육대학교;
(우리말글,
v.63,
2014,
pp.225-254)
-
59
-
⟨九雲夢⟩의 문학지리학적 해석
-
이강엽;
대구교육대학교;
(어문학,
v.0,
2006,
pp.203-240)
-
60
-
효행담의 새로운 이해와 교육
-
이강엽;
대구교육대학교;
(한국초등국어교육,
v.0,
2015,
pp.325-352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