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51
-
해방 전후 정인보의 교유 관계
-
이남옥;
재 한국국학진흥원;
(한국학,
v.46,
2023,
pp.53-80)
-
52
-
조선시대 箕子 추숭의 과정과 그 의미
-
이남옥;
재 한국국학진흥원;
(한국서원학보,
v.0,
2023,
pp.109-136)
-
53
-
하곡 정제두의 현실 인식
-
이남옥;
김천대학교;
(韓國史學史學報,
v.0,
2019,
pp.73-95)
-
54
-
조선후기 장례원 관원의 출신과 관로
-
이남옥;
재 한국국학진흥원;
(藏書閣,
v.0,
2025,
pp.178-201)
-
55
-
강화학파 형성담론의 재구성 - 계보학적 접근방식을 중심으로 -
-
이우진;
이남옥;
배재대학교;
한국학중앙연구원;
(양명학,
v.0,
2012,
pp.227-260)
-
56
-
체계론적 상담: 가계도분석과 가족세우기를 중심으로
-
이남옥;
문용갑;
김지혜;
서울부부가족치료연구소;
서울부부가족치료연구소;
서울부부가족치료연구소;
(상담학연구: 사례및실제,
v.1,
2016,
pp.39-56)
-
57
-
충남 일부지역 영양(교)사를 대상으로 한 학교급식에서의 친환경농산물 사용에 관한 연구
-
이양순;
이남옥;
고성희;
공주대학교;
공주대학교;
성신여자대학교;
(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,
v.14,
2009,
pp.556-564)
-
58
-
부부상담연구소를 방문한 내담자 특성 및 조기 종결관련 요인의 탐색
-
이남옥;
최승미;
조현;
권정혜;
오현주;
정정숙;
서울사이버대학교;
고려대학교;
고려대학교;
고려대학교;
고려대학교;
고려대학교;
(한국심리학회지: 상담 및 심리치료,
v.23,
2011,
pp.543-575)
-
59.
- 직장조직에서의 도움행동과 맥락수행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
- 박보영
-
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vii, 68장, 2007
-
60.
-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·모애착이 분노경험 및 분노표현에 미치는 영향
- 김진아
-
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vii, 72장, 2007