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99건 중 199건 출력
, 6/20 페이지
-
51
-
배우자초청 이민청원에서 혼인의 진정성 증명에 대한 고찰- 가족기반 미국이민법을 중심으로 -
-
하충룡;
부산대학교 경제통상대학 무역학부;
(법학연구,
v.65,
2024,
pp.177-198)
-
52
-
Das neue Einwanderungsgesetz 2019 und dessen Hintergrund in Deutschland unter besonderer Berücksichtigung der Industrie 4.0 und Arbeitsmarkt
-
Yu, Jin-Young;
;
(獨語敎育= Koreanische zeitschrift fur Deutschunterricht,
v.75,
2019,
pp.393-416)
-
53
-
1917년 문맹테스트 이민법을 통해 본 하와이 사진신부
-
박여진;
전북대학교 일반대학교 기록관리학과;
(디지털문화아카이브지,
v.4,
2021,
pp.69-88)
-
54
-
비자와 관련한 예외적 구제수단: 미국 이민법상의 난민 및 망명 규정을 중심으로
-
이재욱;
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;
(한국이민정책학보,
v.2,
2017,
pp.33-56)
-
55
-
케네디 동화주의의 양면성과 1965년 개정이민법의 한계
-
임현식;
서강대학교;
(호모미그란스-이주, 식민주의, 인종주의,
v.15,
2016,
pp.99-134)
-
56
-
제3국 전문인력의 유치와 관련된 독일 이민정책의 주요 현안과 동향 – 전문인력이민법을 중심으로
-
박진우;
고려대학교;
(독어독문학,
v.63,
2022,
pp.91-116)
-
57
-
배우자초청 이민청원에서 혼인의 진정성 증명에 대한 고찰- 가족기반 미국이민법을 중심으로 -
-
하충룡;
부산대학교 경제통상대학 무역학부;
(법학연구,
v.65,
2024,
pp.177-198)
-
58
-
The Historical Network of Colonial Control and Immigration Law: A Focus on Korean Picture Brides(1910-1924)
-
Roh, SunHee;
;
(사회와역사,
v.129,
2021,
pp.229-261)
-
59
-
프랑스 이민법을 통한 EU의 유럽시민권에 대한 역사적 진단
-
박지현;
서강대학교;
(세계 역사와 문화 연구,
v.0,
2008,
pp.121-145)
-
60
-
미국 문맹테스트 이민법을 통해서 본 의회와 이민국의 관계
-
오영인;
아주대학교;
(서양사론,
v.0,
2009,
pp.197-228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