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693건 중 693건 출력
, 6/70 페이지
-
51
-
조세희 작품에서 과학의 이중적 위상 — 『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』에 나타난 위상수학적 테제를 중심으로 —
-
양정현;
세종대학교;
(현대문학이론연구,
v.0,
2023,
pp.233-257)
-
52.
- 법률해석과 해석의 한계 : 켈젠의 해석이론을 중심으로
- 김다희
-
고려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iii, 97 p., 2016
-
53
-
장-뤽 마리옹의 ‘역-경험’에 대한 탐구 – 이타적 종교를 위한 그 유망성
-
박형국;
한일장신대학교;
(장신논단,
v.49,
2017,
pp.255-281)
-
54
-
한국 (근대)문학의 세 가지 테제에 대한 비판적 재검토 - 감금과 자유의 21세기 판 역설들
-
공임순;
;
(상허학보 = The Journal of Korean modern literature,
v.19,
2007,
pp.107-135)
-
55.
- 관계적 멘토링이 경력몰입에 미치는 영향 : 멘토링 특성의 조절효과 분석
- 정택진
-
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ix, 99장, 2018
-
56
-
위험의 주관화와 현대인의 삶 - 위험한 것은 위험하지 않다 -
-
최순종;
경기대학교;
(교정담론,
v.10,
2016,
pp.1-21)
-
57
-
공약 불가능성
-
전동진;
;
(존재론연구,
v.25,
2011,
pp.1-24)
-
58
-
가다머의 비극 이해 ―예술 해석학의 세 테제
-
김창래;
고려대학교;
(철학탐구,
v., 77,
2025,
pp.113-150)
-
59.
- Kultur als Paradox : Entwicklung und Krise des konfuzianischen Kapitalismus in Sudkorea
- 이문호
-
Universitat zu Gottingen, 국외박사,
196p., 1999
-
60
-
동독 역사학계의 “초기시민혁명으로서의 종교개혁과 농민전쟁” 테제 연구
-
조용석;
연세대학교;
(신학논단,
v.84,
2016,
pp.193-221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