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06건 중 106건 출력
, 6/11 페이지
-
51
-
浮世繪에 표현된 小袖의 색채특성에 관한 연구
-
이행화;
박옥련;
경성대학교;
경성대학교;
(일본근대학연구,
v.0,
2008,
pp.169-186)
-
52
-
근세 일본 여성의 화장과 발형(髮型) 고찰
-
박옥련;
이행화;
경성대학교;
경성대학교;
(일본근대학연구,
v.0,
2010,
pp.297-314)
-
53
-
일제강점기의 조선 신여성 인식에 관한 일고찰‒여성잡지 『新女性』을 중심으로‒
-
이행화;
이경규;
경성대학교;
동의대학교;
(일본근대학연구,
v.0,
2016,
pp.201-216)
-
54
-
浮世繪에 표현된 小袖의 문양특성에 관한 연구
-
이행화;
박옥련;
경성대학교;
경성대학교;
(일본근대학연구,
v.0,
2008,
pp.117-133)
-
55
-
근대 일본의 시각문화 속에 나타난 모던걸의 외양 -영화, 광고, 만화를 중심으로-
-
이행화;
이경규;
경성대학교;
동의대학교;
(외국학연구,
v.0,
2014,
pp.507-522)
-
56
-
江戶時代 浮世繪에 표현된 女性服 小袖의 특성에 관한 고찰
-
박옥련;
이행화;
경성대학교;
경성대학교;
(인문학논총,
v.14,
2009,
pp.291-309)
-
57
-
1920년대 일본 신여성의 서양복 수용 고찰
-
이행화;
이경규;
동의대학교;
동의대학교;
(일본근대학연구,
v.0,
2012,
pp.175-192)
-
58
-
근세 일본과 한국의 화장문화 비교
-
이행화;
박옥련;
경성대학교;
경성대학교;
(일본근대학연구,
v.0,
2010,
pp.295-313)
-
59
-
근대 일본의 도시문화 수용을 통해 본 여성 복식의 변천
-
이경규;
이행화;
동의대학교;
경성대학교;
(일본근대학연구,
v.0,
2014,
pp.219-234)
-
60
-
1970년대 재일한인 법적지위 및 대우 문제 고찰 ‒한・일 실무자회의를 중심으로‒
-
이행화;
이경규;
동의대학교 동아시아연구소;
동의대학교;
(일본근대학연구,
v.0,
2025,
pp.185-200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