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51
-
주거사회학적 요인에 영향을 받는 단위 주호의 공간구성 변화 -독일 집합주택 평면의 개방성과 폐쇄성의 변천을 중심으로-
-
전남일;
가톨릭대학교;
(대한건축학회논문집,
v.18,
2002,
pp.99-110)
-
52
-
현대 네덜란드 집합주택의 중정의 유형에 대한 사례연구
-
전남일;
가톨릭대학교;
(대한건축학회논문집,
v.21,
2005,
pp.63-74)
-
53
-
유럽 집합주택 디자인의 미니멀 특성으로 본 현대 주거건축의 개념변화
-
전남일;
가톨릭대학교;
(대한건축학회논문집,
v.27,
2011,
pp.143-154)
-
54
-
통로공간의 구성체계에 따른 주거 내부공간의 상호결합특성에 관한 연구 - 한국과 독일의 주택 평면 사례를 중심으로 -
-
전남일;
가톨릭대학교;
(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,
v.39,
2003,
pp.83-91)
-
55
-
단위주거내 거주자의 사회적 행위패턴에 대응하는 공간 조절 요소
-
전남일;
가톨릭대학교;
(Human Ecology Research,
v.40,
2002,
pp.21-40)
-
56
-
근대 중산층 주거 모델로서의 바바 주택전시회 사례 연구
-
전남일;
가톨릭대학교;
(한국주거학회논문집,
v.34,
2023,
pp.57-66)
-
57
-
집합주택 건축에 있어서 포스트모던 양식의 특징과 의미- 베를린의 IBA지구와 헤이그의 더 레이시던트 지구 사례를 중심으로 -
-
전남일;
유우상;
가톨릭대학교;
전남대학교;
(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,
v.9,
2007,
pp.9-19)
-
58
-
Modern Changes in Korean Residential Culture and Women’s Everyday Life:A Micro-historical Perspective
-
전남일;
정미렴;
가톨릭대학교;
가톨릭대학교;
(Asian Journal of Women's Studies,
v., 18,
2012,
pp.71-107)
-
59
-
주거변화의 일상사적 담론과 한국 주거의 근대화과정
-
전남일;
홍형옥;
양세화;
손세관;
가톨릭대학교;
경희대학교;
울산대학교;
중앙대학교;
(Human Ecology Research,
v.44,
2006,
pp.181-198)
-
60
-
근대 이후 노인의 생활과 생활공간 변화에 대한 일상사적 고찰
-
홍형옥;
전남일;
양세화;
은난순;
경희대학교;
가톨릭대학교;
울산대학교;
가톨릭대학교;
(Human Ecology Research,
v.44,
2006,
pp.47-61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