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19건 중 119건 출력
, 6/12 페이지
-
51
-
A Study on Postwar Women’s Discourse of the Newspaper Media Through Jung Bi-Seok’s Novels Free Women and ‘Park In-Soo’
-
Han, Seungwoo;
;
(인문사회 21 = The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21,
v.10,
2019,
pp.947-960)
-
52
-
신체의 수사학과 남성성의 심미화 ―정비석의일제말기소설을중심으로
-
한민주;
;
(여성문학연구,
v.0,
2005,
pp.251-275)
-
53
-
전후 국가재건 윤리와 자유의 문제-정비석의 ⟨자유부인⟩을 중심으로-
-
이시은;
연세대학교;
(현대문학의 연구,
v.0,
2005,
pp.139-165)
-
54
-
해방기 환멸의 정조와 상상적 탈주: 정비석의 해방기 소설을 중심으로
-
김현주;
한양대학교;
(비평문학,
v.0,
2012,
pp.95-124)
-
55
-
1930년대 후반기 소설에 나타난 생태학적 상상력 - 이효석의 '산', '들'과 정비석의 '성황당'을 중심으로
-
김미영;
한양대학교;
(비교문학,
v.0,
2005,
pp.203-226)
-
56
-
해방기 젠더 정치와 맨스플레인 - 정비석, 김동리, 염상섭 장편소설을 중심으로 -
-
오태영;
동국대학교;
(현대소설연구,
v.0,
2016,
pp.179-218)
-
57
-
전후 국가 근대화와 위험한 미망인의 문화정치학 -정비석의 <유혹의 강>(1958)을 대상으로
-
김은하;
경희대학교;
(한국문학이론과 비평,
v.14,
2010,
pp.211-229)
-
58
-
정비석의 『자유부인』과 다니자키준이치로의 『열쇠』 오선영, 이쿠코를 중심으로 한 비교연구
-
오병우;
대구예술대학교;
(日本文化學報,
v.0,
2011,
pp.243-262)
-
59
-
전후 여성의 이동과 (반)사회적 공간의 형성- 정비석의 『자유부인』과 손소희의 『태양의 계곡』을 중심으로 -
-
오태영;
동국대학교;
(현대문학의 연구,
v.0,
2020,
pp.63-97)
-
60
-
신문소설의 영화적 변용연구 - 정비석의 자유부인 그리고 한형모의 자유부인
-
김경숙;
연암국어;
(아시아영화연구,
v.11,
2018,
pp.117-144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