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88건 중 188건 출력
, 6/19 페이지
-
51
-
정인보와 동아일보 - 조선학을 둘러싼 접점
-
최선웅;
중앙선거관리위원회;
(한국인물사연구,
v.0,
2015,
pp.183-216)
-
52
-
정인보의 문학관과 위당 시조의 의미
-
이민규;
연세대학교;
(인문과학,
v.118,
2020,
pp.5-47)
-
53
-
정인보의 한국적 유학: 유학 연구의 새로운 패러다임
-
권상우;
계명대학교;
(한국학논집,
v.0,
2018,
pp.129-157)
-
54
-
위당 정인보의 조선학 성립배경에 관한 연구
-
배연숙;
부산대학교 국민윤리과;
(철학논총,
v.59,
2010,
pp.405-426)
-
55
-
위당 정인보의 심학(心學)적 역사의식과 교육적 시사점 –『양명학연론(陽明學演論)』을 중심으로-
-
김은숙;
연세대학교;
(교육사상연구,
v.37,
2023,
pp.23-46)
-
56
-
일제강점기 정인보 실심론의 주체성과 창조적 정신
-
이상호;
계명대;
(철학연구,
v.100,
2006,
pp.385-414)
-
57
-
정인보 철학 사상의 기본 입장에 관한 일고찰 - 실심(實心)과 실학(實學)의 한국철학적 구상 -
-
김우형;
연세대학교미래캠퍼스 근대한국학연구소;
(유교사상문화연구,
v.0,
2023,
pp.121-150)
-
58
-
위당 정인보 시문에 나타난 미의식과 ‘실심’의 문제
-
박태옥;
대전대학교;
(동서철학연구,
v.0,
2018,
pp.167-189)
-
59
-
일제강점기 유교지식인의 공동체 인식과 사회적 지향: 정인보의 ‘얼’사상을 중심으로
-
박태옥;
대전대학교;
(인문과 예술,
v.0,
2023,
pp.1-20)
-
60
-
정인보의 『양명학연론』과 근대 양명학파 계보의 재구성
-
신현승;
井岡山大學;
(한국사상사학,
v.0,
2019,
pp.107-140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