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51
-
[좌담] 라운드테이블: 한국여성문학연구의 궤적
-
김양선;
;
(여성문학연구,
v.0,
2019,
pp.448-466)
-
52
-
누아르와 멜로드라마 사이의 좌절-1990년대 후반기 조폭영화의 남성성-
-
조서연;
서울대학교;
(여성문학연구,
v.0,
2013,
pp.117-151)
-
53
-
낙인찍힌 섹슈얼리티들, 그 급진적 성정치의 이론과 현장 -게일 루빈, 신혜수·임옥희·조혜영·허윤 역, 『일탈』, 현실문화, 2015.
-
조서연;
서울대학교;
(민족문학사연구,
v.0,
2015,
pp.551-569)
-
54
-
무대 위 심청의 몸과 신식민지의 성정치
-
조서연;
울산대학교;
(한국극예술연구,
v.0,
2015,
pp.167-204)
-
55
-
⟨인생은 아름다워⟩에 나타난 TV드라마의 동성애
-
조서연;
;
(한국극예술연구,
v.0,
2012,
pp.365-401)
-
56
-
전후 희곡의 성적 ‘자유’와 젠더화의 균열
-
조서연;
서울대학교;
(한국극예술연구,
v.0,
2013,
pp.125-164)
-
57
-
[상허랑에서] 공부를 함께 잇고 또 넓히는 일
-
조서연;
피피모스 평화페미니즘연구소FIPS 연구위원;
(상허학보,
v.68,
2023,
pp.755-763)
-
58
-
에로영화로 살펴보는 1980년대의 진보와 젠더정치 -이윤종, 『에로방화의 은밀한 매력-1980년대 한국 대중영화의 진보적 양면성』 (영화진흥위원회, 2024)
-
조서연;
東京大学;
(한국극예술연구,
v.0,
2024,
pp.197-209)
-
59
-
1960년대 베트남전쟁 영화와 파월 한국군의 남성성
-
조서연;
서울대학교;
(민족문학사연구,
v.0,
2018,
pp.487-520)
-
60
-
영화 ⟨하얀 전쟁⟩과 진보적 남성 민족 주체의 베트남전쟁 기억 만들기
-
조서연;
세종대학교;
(한국극예술연구,
v.0,
2019,
pp.189-228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