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51
-
골굴 석굴과 인도 카를라 석굴의 비교고찰
-
주수완;
고려대학교;
(강좌미술사,
v.0,
2018,
pp.73-89)
-
52
-
관음상 영험기와 통일신라시대 사실적 조각양식의 확립
-
주수완;
고려대학교;
(민족문화연구,
v.0,
2018,
pp.11-40)
-
53
-
백련사 사적비 (圓妙國師碑) 귀부의 미술사적 의의
-
주수완;
고려대학교;
(강좌미술사,
v.0,
2017,
pp.75-93)
-
54
-
興天寺 千手觀音像의 제작기법에 대한 고찰
-
주수완;
고려대학교;
(강좌미술사,
v.0,
2017,
pp.37-52)
-
55
-
장천1호분 예불도를 통해 본 고구려의 불교의례
-
주수완;
고려대학교;
(불교문예연구,
v.10,
2018,
pp.247-275)
-
56
-
흥천사 명부전 석조 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연구
-
주수완;
고려대학교;
(강좌미술사,
v.0,
2019,
pp.71-93)
-
57
-
귀신사(歸信寺)의 불교조각과 조선의 리얼리즘
-
주수완;
우석대학교;
(한국불교사연구,
v.0,
2020,
pp.97-130)
-
58
-
초기 불상의 의례적 기능과 항마촉지인 예배상의 등장 -공양 대상으로서의 불상의 기능을 중심으로-
-
주수완;
고려대학교;
(강좌미술사,
v.0,
2018,
pp.203-226)
-
59
-
하동 쌍계사 사천왕상 연구
-
주수완;
우석대학교;
(강좌미술사,
v.0,
2024,
pp.165-184)
-
60
-
용인 화운사 목조아미타·약사여래좌상 복장전적의 고찰
-
주수완;
우석대학교;
(강좌미술사,
v.0,
2021,
pp.167-183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