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24건 중 124건 출력
, 6/13 페이지
-
51
-
『己巳愍節錄』의 텍스트로서 가치와 소설로의 변이 과정
-
주영아;
한양대학교;
(동방학,
v.0,
2016,
pp.243-274)
-
52
-
박태보의 정치에 대한 기대와 지방관으로서의 태도 고찰
-
주영아;
한양대학교;
(동양문화연구,
v.11,
2012,
pp.133-160)
-
53
-
北征과 17세기 강원도의 실상 탐색 - 『서계집』과 『정재집』을 중심으로 -
-
주영아;
한양대학교;
(동양문화연구,
v.21,
2015,
pp.215-249)
-
54
-
西溪 朴世堂의 效愛惡箴 읽기 - 애오잠과 대비적 글 읽기
-
주영아;
한양대학교;
(온지논총,
v.0,
2007,
pp.237-258)
-
55
-
박세당의 『後北征錄』 고찰 - 변방유람과 시쓰기를 중심으로 -
-
주영아;
강원대학교;
(한국시가문화연구,
v.0,
2015,
pp.343-372)
-
56
-
중등교사와 중등예비교사의 학교폭력 인식 차이
-
주영아;
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;
(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,
v.14,
2014,
pp.101-126)
-
57
-
「제물론」에 대한 인식과 대학생의 철학적 글쓰기 실제
-
주영아;
강원대학교;
(동양문화연구,
v.20,
2015,
pp.203-231)
-
58
-
朴泰輔 文學에 나타난 現實 對應 樣相 — 忠淸道 遊覽時期와 平安道 流配時期의 作品을 中心으로 —
-
주영아;
한양대학교;
(동방학,
v.0,
2012,
pp.69-101)
-
59
-
朴世堂 挽詩의 흐름과 표현 양상
-
주영아;
한양대학교;
(동방학,
v.0,
2011,
pp.35-68)
-
60
-
17세기 조선을 바라보는 박세당의 역사인식-인조반정과 일련의 사건을 중심으로-
-
주영아;
강원대학교;
(동방학,
v.0,
2014,
pp.175-202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