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25건 중 125건 출력
, 6/13 페이지
-
51.
- 오아름의 《세상을 발견하다》의 한중번역 및 분석
- 방립정
-
가천대학교 일반대학원, 국내석사,
253, 2022
-
52.
- 조선족 이중 언어교육에서 문학 텍스트에 관한 연구 : 중국 조선족 중학교 『조선어문』을 중심으로
- 朱玉
-
고려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vi, 71 p., 2012
-
53
-
姜敬愛 문학에 나타난 초민족적 계급연대의식 연구
-
최유학;
중국 中央民族大學;
(Journal of korean Culture,
v.35,
2016,
pp.183-210)
-
54.
- 夏目漱石 : 漱石文學における「告白」の位置
- 최명숙
-
中央大學, 국외박사,
iii, 357p., 2000
-
55
-
『왕오천축국전』의 문학적 성격과 삽입시의 이미지 고찰
-
정병헌;
숙명여자대학교;
(고전문학과 교육,
v.0,
2013,
pp.341-368)
-
56.
- 조선시대 세시민속 관련 문헌의 지형도
- 김효정
-
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, 국내박사,
, 2022
-
57.
- 중국 미션스쿨과 한국 근대문학
- 육령
-
연세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vi, 161장, 2023
-
58
-
심훈 단편소설에 나타난 창작방법 고찰
-
조선영;
중앙대학교;
(현대소설연구,
v.0,
2017,
pp.211-253)
-
59.
- 아동형상에 대한 미술사적 맥락과 일상적 기록으로서의 표현 연구
- 등기영
-
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, 국내박사,
222p., 2023
-
60.
- (The) Neo-Confucian Foundation of Modern Korean Culture
- Crane, Clarke J
-
세종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116p., 2008