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2,830건 중 1,000건 출력
, 6/100 페이지
-
51
-
Comparison of Cognitive Models and space awarenesse of ‘半空’
-
김정필;
;
(동북아문화연구 = Journal of north-east asian cultures,
v.1,
2014,
pp.207-219)
-
52
-
한중 역대 문집에 나타난 명승(名勝) 서새산(西塞山) 향유방식과 의상(意象) 비교 고찰
-
박소현;
전북대학교 중어중문학과;
(韓國傳統造景學會誌 =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,
v.40,
2022,
pp.24-33)
-
53
-
상하이 기루 소설 『海上花列傳』의 음악의 기능- ‘穿揷藏閃’법을 중심으로
-
김영옥;
부산대학교 중어중문학과;
(인문사회과학연구 :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,
v.20,
2019,
pp.35-63)
-
54.
- 王維 『輞川集』 硏究
- 이윤경
-
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중어중문학과 중문학전공, 국내석사,
ⅱ, 57 p., 2018
-
55
-
Desire and Tragedy in Guohua ― in terms of Huaijing Zhu's Desire
-
서정희;
;
(동북아문화연구 = Journal of north-east asian cultures,
v.41,
2014,
pp.165-179)
-
56
-
제2언어 습득에 따른 제1언어 음성에 대한 제2언어의 간섭 효과: 중국인 한국어 화자의 치조마찰음을 중심으로
-
김대일;
중산대학교 주하이 캠퍼스 중어중문학과;
(말소리와 음성과학 =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,
v.17,
2025,
pp.1-11)
-
57
-
한국전통사찰 전각과 봉안(奉安) 불·보살(佛·菩薩)에 따른 주련(柱聯) 양상 및 공간 인식 고찰 - 조계종 25교구 본산을 중심으로 -
-
신현실;
박소현;
우석대학교 조경학과;
전북대학교 중어중문학과;
(韓國傳統造景學會誌 =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,
v.40,
2022,
pp.43-54)
-
58
-
『삼국유사(三國遺事)』의 환웅(桓雄)과 염제신농(炎帝神農)과 기록학적 비교고찰
-
윤순;
청주대학교 인문대학 중어중문학과;
(한국기록관리학회지 =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,
v.1,
2001,
pp.57-79)
-
59
-
디지털 플랫폼을 활용한 한자·한문 교육 설계와 운용 - 중어중문학과와 한문교육과의 교수학습 사례를 중심으로
-
최지연;
이해윤;
中央硏究院;
단국대학교 한문교육연구소;
(한중언어문화연구,
v.0,
2025,
pp.159-184)
-
60
-
중어중문학과 한자 교육의 새로운 시도 ― '羊'과 羊부수 글자 중심으로 ―
-
전긍;
초팽염;
국민대학교;
서울대학교;
(중국인문과학,
v.0,
2010,
pp.77-91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