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,239건 중 1,000건 출력
, 6/100 페이지
-
51
-
포스트 모던 역사학과 지방사
-
강성호;
순천대학교;
(역사학연구,
v.0,
2004,
pp.249-270)
-
52
-
【연구동향】지방사 연구와 시간 연구
-
차철욱;
부산대학교;
(지역과 역사,
v.0,
2017,
pp.325-336)
-
53
-
영남지방사 연구의 현황과 전망
-
우인수;
경북대학교;
(영남학,
v.0,
2016,
pp.37-69)
-
54
-
지역사학회의 발전방향과 지방사연구
-
장동표;
밀양대;
(역사와경계,
v.0,
2002,
pp.1-16)
-
55
-
A Transition from Local History to Regional History - The current state and new searches of regional history research in modern Korea -
-
Hur, Young-Ran;
;
(지방사와 지방문화 = Journal of local history and culture,
v.20,
2017,
pp.347-379)
-
56
-
인도네시아 반다 지방사에 나타난 자율성과 민족주의적 사관 고찰
-
송승원;
한국외국어대학교 말레이-인도네시아어 통번역학과;
(동남아시아연구,
v.34,
2024,
pp.163-201)
-
57
-
‘悉直學’의 정립을 이한 초석, 『조선시대 삼척지방사 연구』, 배재홍, 도서출판 우물이 있는 집, 2007, 418면
-
김경옥;
;
(지방사와 지방문화 = Journal of local history and culture,
v.13,
2010,
pp.561-570)
-
58
-
지방사 연구의 대상과 방법-『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』 사례를 중심으로-
-
이정자;
;
(인문과학연구,
v.0,
2010,
pp.67-121)
-
59
-
지방사 연구의 한 방법으로서 로컬리티 연구
-
차철욱;
부산대학교;
(호남학,
v.0,
2016,
pp.303-333)
-
60
-
탈근대와 지방사 연구:프랑스와 영국의 경우
-
장세룡;
부산대학교;
(대구사학,
v.93,
2008,
pp.277-308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