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51
-
9·18사변 전후의 정국과 南京政府의 대응
-
김영신;
원광대학교;
(중국학연구,
v.0,
2012,
pp.403-430)
-
52
-
기록자 표지에 근거한 『朱子語類』의 방언현상 연구
-
강용중;
성균관대학교;
(중어중문학,
v.0,
2009,
pp.305-329)
-
53.
- 고등학교 중국어 교과서 CD-ROM 타이틀 부분 설계 및 구현
- 조윤교
-
韓國外國語大學校 敎育大學院, 국내석사,
ⅶ, 116 p., 2005
-
54.
- 宋代以前의 婦人科 疾病史에 대한 硏究
- 장용훈
-
大田大學校, 국내박사,
186p., 2004
-
55
-
잠영(潛影)과 몰락(沒落) ― 한국사 교과서의 청나라 서술 분석 ―
-
이영옥;
성신여자대학교;
(명청사연구,
v.0,
2013,
pp.181-211)
-
56
-
한족과 소수민족의 쥐설화 비교 연구
-
양회석;
임지영;
박세옥;
전남대학교;
전남대학교;
전남대학교;
(중국문학,
v.66,
2011,
pp.173-197)
-
57
-
詩學 교재로서의 『百聯抄解』
-
이현일;
성균관대학교;
(동방한문학,
v.0,
2020,
pp.241-270)
-
58
-
西漢時期의 文學에 나타난 經學
-
신주석;
서울여자대학교;
(중국문화연구,
v.0,
2008,
pp.83-100)
-
59
-
習近平시대 : 中共18차 黨代表大會의정치경제학 - 새로운 한중 관계 논의를 겸하여
-
강준영;
한국외국어대학교;
(중국학논총,
v.0,
2013,
pp.31-52)
-
60
-
주홍글씨 : 광서제의 주비주접 직관편(職官編) 분석
-
이영옥;
전남대학교;
(명청사연구,
v.0,
2016,
pp.361-388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