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51
-
신라의 城제사와 그 의미-성황신앙의 수용배경을 중심으로-
-
채미하;
경희대학교;
(역사민속학,
v.0,
2009,
pp.7-41)
-
52
-
陶唐山과 그 성격 -祭儀를 중심으로-
-
채미하;
경희대학교;
(신라문화,
v.0,
2010,
pp.31-52)
-
53
-
신라 명산대천의 사전(祀典) 편제 이유와 특징
-
채미하;
경희대학교;
(민속학연구,
v.0,
2007,
pp.235-254)
-
54
-
백제 가림성고(加林城考) -『삼국사기』 제사지 신라조의 명산대천제사를 중심으로-
-
채미하;
경희대학교;
(백제문화,
v.0,
2008,
pp.81-102)
-
55
-
웅진시기 백제의 국가제사 -' 제천지(祭天地)'를 중심으로-
-
채미하;
경희대학교;
(백제문화,
v.0,
2008,
pp.1-20)
-
56
-
신라 왕실의 김유신에 대한 인식 변화와 그 推尊
-
채미하;
경희대학교;
(韓國史學報,
v.0,
2015,
pp.423-451)
-
57
-
한국 고대의 죽음과 喪・祭禮
-
채미하;
경희대학교;
(한국고대사연구,
v.0,
2012,
pp.35-75)
-
58
-
신라 선덕왕대 사직단 설치와 祀典의 정비
-
채미하;
韓國國家記錄硏究院;
(한국고대사연구,
v.30,
2003,
pp.113-142)
-
59
-
안정복의 신라 국가제사에 대한 이해와 그 의미
-
채미하;
경희대학교;
(한국실학연구,
v.0,
2016,
pp.457-489)
-
60
-
신라 국왕의 視學과 그 의미
-
채미하;
경희대학교;
(한국사상사학,
v.0,
2009,
pp.121-158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