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2,317건 중 1,000건 출력
, 6/100 페이지
-
51.
- 한국 천주교 연도(煉禱)와 상장례 문화
- 주은경
-
동아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ix, 139 p., 2009
-
52
-
<봉교자술>의 경험 서사에 나타나는 천주교 인식
-
윤인선;
충북대학교;
(韓國古典硏究,
v.0,
2015,
pp.603-631)
-
53.
- 18세기 조선 천주교 여성신자의 의식변화
- 이현아
-
中央大學校 敎育大學院, 국내석사,
ii, 55 p., 2005
-
54
-
회원작품-천주교 화곡2동 성당 리모델링
-
박대원;
(주)에이포스트 종합건축사 사무소;
(建築士 = Korean architects,
v.2007,
2007,
pp.40-43)
-
55
-
조선 천주교 순교자 현양회의 창립과 발전
-
노용필;
;
(敎會史硏究 = Research journal of Korean church history,
v.27,
2006,
pp.219-247)
-
56.
- 서울 천주교 역사유적지의 세계유산적 가치
- 김경혜
-
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, 국내석사,
xii, 133 p., 2015
-
57
-
조선후기 천주교 서적에 나타난 ‘良知說’에 대하여
-
원재연;
;
(陽明學 = Yang-ming studies,
v.20,
2008,
pp.293-323)
-
58
-
천주교 서울대교구 전농동성당(성모칠고성당)
-
박재환;
안기돈;
종합건축사사무소 도성;
종합건축사사무소 도성;
(建築士 = Korean architects,
v.2004,
2004,
pp.30-39)
-
59
-
한국 천주교의 조직적 특성
-
조현범;
(재)한국교회사연구소;
(종교연구,
v.0,
2013,
pp.219-250)
-
60
-
한국 천주교민중운동과 ‘가톨릭 시민성’ 탐구
-
황경훈;
가톨릭대학교;
(가톨릭신학,
v.0,
2021,
pp.349-384)